〇 무득무설분 제7 - 여래가 설한 바 없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느냐? 여래가 법을 설한 바가 있느냐?』
수보리가 말하였다.
『제가 부처님께서 설하신 뜻을 이해할 것 같으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고 이름할 만한 일정한 법이 없으며, 또 여래께서 설하셨다고 할 만한 일정한 법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설하신 법 모두 취할 수 없는 것이며 설할 수도 없는 것이며, 법도 아니고 법아님도 아니기 때문입니다.까닭이 무엇인가 하면 모든 현인이나 성인이 모두 무위법으로써 차별이 있기 때문입니다.』
* 이는 부처님께서 깨달으셨는가, 아닌가를 묻는 것이 아니다. 깨달음이라는 것이 어떤 고정된 상을 지니고 있어서 얻을 만한 것인지 아닌지를 묻는 것이다. 또한 진리라는 것이 말이나 문자로써 설명할 수 있는 것인가, 부처님께서 설하신 바 말씀이 다인가 하고 묻는 것이다.
아래에 바로 이어져 설명하고 있듯이 법은 취할 수 있거나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말로써 설명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말과 문자에 얽매이지 말아야 한다. 앞에서 나온 벌유자(筏喩者)임을 잘 알아야 한다.
* 設誼 해설 - 이승(二乘)이 있으면 이승을 설하고 대승이 있으므로 대승(大乘)을 설하시니, 중생에 응하여 방편을 행하시니 결정적인 법은 없음이로다.
* 법도 아니고 법아님도 아니다. 일체가 실체가 없이 무상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우리 앞에 펼쳐진 이러한 일체를 떠나 따로 고정 불변의 세계가 있는 것도 아니다. 무상(無常)하고 무상(無相)한 이러한 세계야말로 진여(眞如)의 세계이며 부처의 세계이다.
* 지식은 얻을 수 있으나, 진리라고 하는 것은 깨닫는 것이지 얻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마치 어두운 방에서 불이 켜지면 확연히 사물들이 보이는 것과 같다.
* 무위법이란 분별되지 않은 그 자체를 말한다. 그러나 이를 설명하면 결국 차별이 생기고 분별이 생긴다. 그러니 설명해버리면 바로 그 자체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설한 바가 없다고 하는 것이다. 설명하지 않을 수도 없고 설명할 수도 없다.
'■ 불교이야기 ■ > 한글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금강경 09 - 일상무상분 (0) | 2010.04.17 |
---|---|
한글 금걍경 08 - 의법출생분 (0) | 2010.04.17 |
한글 금강경 06 - 정신희유분 (0) | 2010.04.16 |
한글 금강경 05 - 여리실견분 (0) | 2010.04.15 |
한글 금강경 04 - 묘행무주분 (0) | 2010.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