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금강경 32 - 응화비진분 ○ 응화비진분 제32 - 모든 유위법은 허깨비와 같다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무량아승지 세계에 가득한 7보를 가지고 보시한다고 할지라도 만약 선남자와 선여인으로서 보살심을 발한 자가 이 경이나 4구게 등이라도 받아서 지니고 독송하든지 다른 사람을 위해 연설하면 그 복이 저보다 더 낫다... ■ 불교이야기 ■/한글 금강경 2010.04.25
한글 금강경 31 - 지견불생분 ○ 지견불생분 제31 - 그냥 그렇게 말할 뿐 『수보리야 만약 사람이 부처님께서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을 설하셨다고 한다면,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사람은 내가 설한 뜻을 이해했는가 아닌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이 사람은 여래께서 설하신 뜻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왜냐하면.. ■ 불교이야기 ■/한글 금강경 2010.04.25
한글 금강경 30 - 일합이상분 ○ 일합이상분 제30 - 미진과 세계는 실체가 없다 『수보리야 만약 선남자선여인이 삼천대천세계를 티끌로 부순다면 이 티끌이 많은가 그렇지 않은가?』 수보리가 말하되,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만약 이 미진들이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라면 부처님께서는 이 미진들이라고 하지 않으.. ■ 불교이야기 ■/한글 금강경 2010.04.25
한글 금강경 29 - 위의적정분 ○ 위의적정분 제29 - 오고 감이 없으므로 여래이다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여래는 오기도 하고 가기도 하며 앉기도 하고 눕기도 한다.」고 한다면 이 사람은 내가 설한 바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여래라는 것은 온 바도 없거니와 간 바도 없으므로 여래라고 하는 것이기 때문.. ■ 불교이야기 ■/한글 금강경 2010.04.25
한글 금강경 28 - 불수불탐분 ○ 불수불탐분 제28 - 보살은 복덕에 탐착하지 않는다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갠지스 강 모래 수 같이 많은 세계를 칠보로 가득 채워서, 그것을 가지고 보시한다고 하자. 또 어떤 사람이 일체법이 실체가 없음을 알아 인(忍)을 이룬다면, 이 보살이 앞의 보살보다 얻는 공덕이 낫다. 왜냐하면 수보리야.. ■ 불교이야기 ■/한글 금강경 2010.04.25
한글 금강경 27 - 무단무멸분 ○ 무단무멸분 제27 - 斷滅相(단멸상)을 말하지 마라. 『수보리야, 너는 「여래는 상을 구족하지 않아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생각하는가? 수보리야 「여래가 상을 구족하지 않아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생각하지 마라. 수보리야 네가 이렇게 생각하되 아뇩다라삼먁삼보리.. ■ 불교이야기 ■/한글 금강경 2010.04.24
한글 금강경 26 - 법신비상분 ○ 법신비상분 제26 - 相(상)으로써 여래를 볼 수 없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32상으로써 여래를 볼 수 있느냐 없느냐?』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그렇습니다. 32상으로 여래를 볼 수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야, 만약 32상으로 여래라는 것을 본다면 전륜성왕도 곧 여래이.. ■ 불교이야기 ■/한글 금강경 2010.04.24
한글 금강경 25 - 화무소화분 ○ 화무소화분 제25 - 제도할 중생이 없음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너희들은 여래가 이와 같이 생각하되 「내가 마땅히 중생을 제도하겠다.」 라고 한다고 말하지 마라. 수보리야, 그와 같은 생각을 하지 마라. 왜냐하면 여래가 제도할 중생이 실로 있지 않으니 만약 여래가 제도할 중생이 있다.. ■ 불교이야기 ■/한글 금강경 2010.04.24
한글 금강경 24 - 복지무비분 ○ 복지무비분 제24 - 비할 바 없는 법 『수보리야. 삼천대천세계에 있는 수미산처럼 많은 칠보를 모아서 어떤 사람이 이를 가지고 보시한다고 하자. 만약 이 반야바라밀경 또는 4구게만이라도 받아 지녀서 읽고 외워서 남에게 해설해준다면 앞의 복덕이 백분의 일도 못 미치며, 백 천 만억 내지 산수와.. ■ 불교이야기 ■/한글 금강경 2010.04.21
한글 금강경 23 - 정심행선분 ○ 정심행선분 제23 - 상이 없는 마음으로 선법을 닦는다 『또 수보리야, 이 법은 평등하여 상하가 없으므로 이를 무상정등각이라고 이름 한다. 나가 없고 남도 없으며 중생도 없고 수자(壽者)도 없음으로써 모든 선법을 닦으면 곧 무상정등각을 얻게 된다. 수보리야 선법이라고 말하는 것은 부처님이 .. ■ 불교이야기 ■/한글 금강경 2010.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