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명절 문화를 만들자 1. 설날과 추석은 의미가 깊은 명절 ❂ 언제부터 설날과 추석을 명절로 삼아왔을까? 그 시초는 알 수 없다. 설날이 해가 바뀌는 것을 기념하는 날이므로 역법(曆法)을 사용하기 시작할 때부터 설날이 있었지 않을까 하고 추측해볼 수 있다. 추석은 신라 때 가배계가 기원이라는 설이 유..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15.02.17
대중 교통 안에서 요즘은 버스나 지하철 안에서 자리를 양보하는 사람이 많이 줄었다. 그래도 노약자를 보면 미소를 먹음고 공손하게 자리를 양보하는 사람이 있어 마음을 밝게 한다. 그런데 손윗 사람이라고 해도 예절은 지켜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노약자라고 해서 양보받는 것이 권리는 아니다. 그것은 양보하는 사..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10.07.24
[스크랩] 너그럽게 운전하니 `지구 40바퀴` 무사고 뉴스: 너그럽게 운전하니 `지구 40바퀴` 무사고 출처: 매일경제 2009.11.06 06:23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09.11.06
모두가 즐거운 교통 문화 차내 음악 소리 시끄러워요 요즘은 차 중에서 음악을 듣는 사람들이 참 많아요. 모두가 이어폰을 끼고 있죠. 그런데 이어폰 밖으로 새어 나오는 음악 소리 시끄럽지 않으세요? 밖으로 새는 소리는 고음이기 때문에 더 시끄럽죠. 특히 아침부터 복잡한 차중에 여기저기서 들리는 소리는 정말 짜증 날 때..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08.10.14
아름다운 누리꾼 문화 아름다운 누리꾼 문화를 만듭시다 1. 중국인들의 반한 감정을 보고 신문지상에 요즘 중국인들의 반한(反韓) 감정이 심상찮다는 기사가 자주 오릅니다. 돈을 줘도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팔지 않겠다는 중국인들도 있다고 합니다. 그 원인은 복합적인 것이겠지만, 누리꾼들의 과격한 감정 표현이 가장 큰..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08.08.27
장애인에 대한 예절 ① 기본 자세는 장애인이나 보통 사람이나 똑 같은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특별한 사람으로 생각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 인격을 존중해주고, 일반인과 똑 같이 높임말을 사용한다. * 어떤 사람은 장애인이라고 하여 얕잡아보고 반말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단히 잘못된 태도이다. * 음식점..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08.08.14
유교와 생활 예절 1. 공수법(拱手法) : 자기의 두 손을 마주 잡는 것 ❂ 평상시, 명절, 혼례, 제례 등 : 남자는 왼손이 위로,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 흉사시(상주가 되었을 때, 조문할 때, 영결식 참여 등) : 평상시와 반대 2. 배례법(拜禮法) : 절하는 것 ❂ 單拜(단배 ; 한 번 절) - 평상시 ❂ 再拜(..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08.01.26
공원, 여행지에서 공중 도덕 공원에서의 공중 도덕과 질서 ① 시설물을 훼손하지 말자. * 공원 내 시설들은 모두 시민들의 세금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훼손하게 되면 또 다시 세금으로 이를 보수해야 하므로 결국 시민들의 손해가 된다. ② 시설물들을 청결하게 사용한다. 특히 공중 화장실을 깨끗이 사용해야 한다. *..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07.10.21
제례의 개선 1. 도전 받는 제사 조상들에게 제사를 지내는 우리의 관습은 참으로 뿌리 깊은 전통이다. 그러나 사회의 모습이 바뀌면서 제례를 둘러싸고 여러 가지 갈등을 겪고 있다. 갈등을 겪고 있다는 것은 다른 말로 하면 제례 때문에 불편함을 겪는다든지 아니면 필요성에 의구심을 가진다는 말이 된다. 제례뿐..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07.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