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경문05-한문과 음 主人公(주인공) 聽我言(청아언) 幾人(기인) 得道空門裏(득도공문리) 汝何長輪苦趣中(여하장륜고취중) 汝自無始已來(여자무시이래로) 至于今生(지우금생) 背覺合塵(배각합진) 墮落愚痴(타락우치) 恒造衆惡而入三途之苦輪(항조중악이입삼도지고륜) 不修諸善而沈四生之業海(불수제선이침사생지업해) .. ■ 불교이야기 ■/초발심자경문 2010.09.03
자경문04 열째, 대중 속에서 생활함에 마음이 항상 평등해야 한다. 애착을 끊고 부모와 하직함은 법계가 평등하기 때문이다. 만약 가까움과 먼 것이 있다면 마음이 평등하지 않기 때문이니, 비록 다시 출가하나 무슨 덕이 있을 것인가? 마음 가운데 만약 미뭐하고 사랑하는 취함과 버림이 없다면 몸에 어찌 괴로.. ■ 불교이야기 ■/초발심자경문 2010.09.03
자경문03 여섯째, 절대로 망령되게 스스로 높이거나 크게 보지 말며, 남을 가볍게 여기거나 교만하지 마라. 어짐을 닦아 어짐을 얻는 데 겸양이 근본이 되고, 벗을 사겨 벗과 원만하게 지내는 데는 공경함과 믿음이 으뜸이 된다. 四相山(사상산)이 차츰 높아지면 三途海(삼도해)가 더욱 깊어진다. 其六(기육) 切莫.. ■ 불교이야기 ■/초발심자경문 2010.09.02
자경문02 둘째, 자기 재물을 아끼지 말고, 남의 물건을 구하지 마라. 삼악도의 괴로움에서 탐욕으로 인한 업이 첫째요, 육바라밀에서 보시가 으뜸이다. 인색하고 탐하는 것은 착한 길을 막을 수 있으며, 자비로운 베품은 반드시 악의 길을 막으니, 만약 가난한 사람이 와서 구걸을 하면, 비록 어려운 처지에 있다.. ■ 불교이야기 ■/초발심자경문 2010.09.01
자경문01 자경문(自警文) * 고려 시대 나옹(懶翁, 慧勤이라고도 함)화상의 제자 야운(野雲, 생몰연대 미상)이 지었다. 1987자로 되어있다. 주인공아 내 말을 들어라. 거의 모든 사람이 공문(空門)에서 도를 얻는데, 그대는 어찌하여 괴로운 세상에서 오랜 동안 윤회하는가? 그대는 무시(無始)이래부터 현생까지 깨.. ■ 불교이야기 ■/초발심자경문 2010.08.31
발심수행장03-한문과 음 發心修行章(발심수행장) 夫諸佛諸佛(부제불제불) 莊嚴寂滅宮(장엄적멸궁) 於多劫海(어다겁해) 捨欲苦行(사욕고행) 衆生衆生(중생중생) 輪廻火宅門(윤회화택문) 於無量世(어무량세) 貪慾不捨(탐욕불사) 無防天堂(무방천당) 少往至者(소왕지자) 三毒煩惱(삼독번뇌) 爲自家財(위자가재) 無誘惡道(무유악.. ■ 불교이야기 ■/초발심자경문 2010.08.30
발심수행장02 누구나 밥을 먹어 주린 배를 위로할 줄은 알지만 진리를 배워 어리석은 마음을 고칠 줄은 모른다. 수행과 지혜를 갖춤은 수레의 두 바퀴와 같고, 나를 이롭게 하고 남을 이롭게 함은 새의 두 날 개와 같다. 共知喫食而慰飢腸(공지끽식이위기장) 不知學法而改癡心(부지학법이개치심) 行智俱備(행지구비).. ■ 불교이야기 ■/초발심자경문 2010.08.30
발심수행장01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 원효스님(617~686)이 지었다. 모두 704자로 되어 있다. 공부에 매진할 것을 독려하고 있다. 모든 부처님께서 적멸궁을 장엄하신 것은 저 수없이 많은 겁의 바다에서 욕심을 버리고 고행을 하신 까닭이며, 모든 중생들이 불타는 집 속을 윤회하는 것은 저 한량없는 세상에서 탐욕.. ■ 불교이야기 ■/초발심자경문 2010.08.30
계초심학인문04-한문과 음 誡初心學人文(계초심학인문) 誡初心學人文(계초심학인문) 夫初心之人(부초심지인) 須遠離惡友(수원리악우) 親近賢善(친근현선) 受五戒十戒等(수오계십계등) 善知持犯開遮(선지지범개차) 但依金口聖言(단의금구성언) 莫順庸流妄說(막순용류망설) 旣已出家(기이출가) 參陪淸衆(참배청중) 常念柔和善.. ■ 불교이야기 ■/초발심자경문 2010.08.29
계초심학인문03 만약 큰 스님이 법좌에 올라 설법을 하는 것을 보면, 그 설법에 너무 어려워 포기하려는 생각을 하거나 굴복하여 물러나려는 마음이나 늘 듣던 것이라며 새로울 것이 없다는 생각이나 혹 별 것 아니라는 생각을 내는 것을 절대로 해서는 안 된다. 마땅히 마음을 비워 들으면 반드시 깨달을 때가 있을 것.. ■ 불교이야기 ■/초발심자경문 2010.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