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조단경을 읽고 1. 실상을 본다. 본성이 어떠한가에 대한 논의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끊임이 없이 있어왔다. 이에 대해 대체로 선하다고 하는 주장이 많지만 악으로 보는 사람도 없지 않고, 中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 육조단경에서는 자성은 원래 공하다고 본다. 공하다는 것은 어떻게 규정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그것.. ■ 불교이야기 ■/육조단경 2007.08.18
육조단경-5 남돈과 북점(南頓北漸) * 南頓은 혜능대사의 가르침을 말하고 北漸은 신수대사의 가르침을 말한다. ○ 조사께서 대중들에게 이르기를 『법은 본래 한 종이건만 사람이 남북을 두고 법은 곧 한가지인데 지견이 늦고 빠름이 있다. 무엇을 頓漸이라 하는가? 법에는 돈점이 없건 만은 사람에게 영특함과 .. ■ 불교이야기 ■/육조단경 2007.08.01
육조단경-4 참청한 기연(參請機緣) ○ 法海(법해)가 卽心卽佛(즉심즉불)의 뜻을 물었다. * 마음이 곧 부처라고 하는데 이 말이 무슨 뜻인가? 前念(전념)이 나지 않는 것이 마음에 즉하는 것이요 후념이 멸하지 않는 것이 불에 즉함이며 일체상을 이룸은 마음에 즉함이요 일체상을 여읨은 불에 즉함이다.(前念不生 .. ■ 불교이야기 ■/육조단경 2007.03.27
육조단경-3 좌선법을 가르치다(敎授坐禪) ○어떠한 것을 좌선이라고 하는가? 이법문 중에는 걸림도 없고 막힘도 없으니 밖으로 일체 선악경계를 당하여도 심념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坐가 되며 안으로 자성이 원래 돔함이 없음 보는 것이 禪이 된다.(此法門中 無障無碍 外於一切善惡境界 心念不起 名爲坐 內見自.. ■ 불교이야기 ■/육조단경 2007.03.18
육조단경-2 공덕과 정토를 밝히다(釋功德淨土) ○韋刺使(위자사)가 물었다. 달마대사가 양무제를 교화하실 때 무제가 묻기를 “짐이 일생 동안 절을 짓고 스님을 공양하고 널리 보시하고 齋(재)를 베풀었는데 어떤 공덕이 있는가?”라고 하니 달마대사가 “실로 공덕이 없다.” 하였다 하는데 그 이치가 무엇인가.. ■ 불교이야기 ■/육조단경 2007.03.10
육조단경-1 * 육조(六祖) -- 혜능(惠能)을 가리킨다. 인도에서 1조 마하가섭을 시작으로 달마까지 28대 조사가 있고, 달마가 중국으로 들어와 중국의 1조가 되었다. 중국 : 1조 달마, 2조 혜가(慧可), 3조 승찬(僧璨), 4조 도신(道信), 5조 홍인(弘忍), 6조 혜능(惠能) * 혜능 -- 아버지는 盧氏, 어머니는 李氏이다. 638년(貞觀.. ■ 불교이야기 ■/육조단경 2007.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