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기신론 - 권수이익분, 회향게 5. 勸修學利益分(권수학이익분) 已說修行信心分(이설수행신심분) 次說勸修利益分(차설권수리익분) 이미 修行信心分(수행신심분)을 설명하였으니, 다음에는 勸修利益分(권수이익분)을 설명하겠다. 如是摩訶衍諸佛秘藏(여시마하연제불비장) 我已總說(아이총설) 이와 같이 대승인 모든 부..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10.15
대승기신론 - 수행신심분 - 오문 - 지관쌍수 ③ 止觀雙修(지관쌍수)를 권함 若行若住若臥若起(약행약주약와약기) 皆應俱行(개응구행) 다니거나 머무르거나 눕거나 일어나거나 다 止(지)와 觀(관)을 마땅히 함께 수행해야 한다. * 《앙굿다라 니까야≫ 쭌다 경(Chunda-sutta) 도반들이여, 그러므로 이와 같이 공부지어야 합니다. ‘법에 ..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10.15
대승기신론 - 수행신심문 - 오문 - 관문(觀門) ② 觀門(관문) 復次若人唯修於止(부차약인유수어지) 則心沈沒(즉심침몰) 或起懈怠(혹기해태) 不樂衆善(불락중선) 遠離大悲(원리대비) 是故修觀(시고수관) 다시 다음에 만약 사람이 止(지)만 닦으면 마음이 가라앉거나 게으름이 일으나며, 여러 선함을 즐기지 않고 대비심을 멀리하게 된..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10.14
대승기신론 - 수행신심분 - 지문 - 마사(魔事)와 이익 ○ 魔事(마사) 或有衆生(혹유중생) 無善根力(무선근력) 則爲諸魔外道鬼神之所惑亂(즉위제마외도귀신지소혹란) 또는 어떤 중생이 선근의 힘이 없으면 모든 魔(마)와 外道(외도)와 堆惕鬼(퇴척귀)와 精魅神(정매신)에 의해 미혹되고 어지럽게 된다. * 지운 : 선근(善根)은 보시, 인욕, 지..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10.14
대승기신론 - 수행신심문 - 오문 - 지문(止門) ⑸ 止觀門(지관문) 云何修行止觀門(운하수행지관문) 所言止者(소언지자) 謂止一切境界相(위지일체경계상) 隨順奢摩他觀義故(수순사마타관의고) 어떻게 止觀門(지관문)을 수행할 것인가? 말한 바 지(止)라고 하는 것은 모든 경계상을 멈추는 것을 말하니, 奢摩他(사마타)의 관의 뜻을 따..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10.07
대승기신론 - 수행신심문 - 오문(五門) 2) 五門(오문) 修行有五門(수행유오문) 能成此信(능성차신) 云何爲五(운하위오) 수행에는 다섯 문이 있어서 능히 이 믿음을 이루니, 무엇을 다섯이라고 하는가? * 能成此信(능성차신) : 이 믿음[此信]이란 위의 네 가지 믿음 즉, 근본과 불법승에 대한 믿음을 말한다. 一者施門(일자시문) 二..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10.04
대승기신론 - 수행신심분 - 사신(四信) 4. 修行信心分(수행신심분) 已說解釋分(이설해석분) 次說修行信心分(차설수행신심분) 이미 解釋分(해석분)을 설하였으니, 다음에 修行信心分(수행신심분)을 설하겠다. 是中(시중) 依未入正定衆生故(의미입정정중생고) 說修行信心(설수행신심) 이 가운데 아직 정정취로 들어가지 못한 중..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10.04
대승기신론 - 해석분 - 분별발취도상 - 증발심 (4) 證發心(증발심) ① 發心(발심)의 因緣(인연) 證發心者(증발심자) 從淨心地(종정심지) 乃至菩薩究竟地(내지보살구경지) 證何境界(증하경계) 證發心(증발심)이라는 것이 淨心地(정심지)부터 나아가 보살의 究竟地(구경지)까지 어떤 경계를 증득할까? * 淨心地(정심지) : 보살 십지 중 초지..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10.01
대승기신론 - 해석분 - 분별발취도상 - 해행발심 (3) 解行發心(해행발심) 解行發心者(해행발심자) 當知轉勝(당지전승) 解行發心(해행발심)이라는 것은 마땅히 알지니, 신성취발심보다 더욱 수승하다. 以是菩薩從初正信已來(이시보살종초정신이래) 於第一阿僧祇劫將欲滿故(어제일아승기겁장욕만고) 於眞如法中(어진여법중) 深解現前(심..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10.01
대승기신론 - 해석분 - 분별발취도상 - 신성취발심 ② 發心(발심)의 모습 復次信成就發心者(부차신성취발심자) 發何等心(발하등심) 다시 다음 信成就發心(신성취발심)이란 것이 어떤 마음을 내는가? 略說有三種(략설유삼종) 云何爲三(운하위삼). 一者直心(일자직심) 正念眞如法故(정념진여법고) 二者深心(이자심심) 樂集一切諸善行故(낙..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