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적멸분 제14 - 모든 상을 떠난 것을 부처라고 한다
그때 수보리가 이 경전을 설하는 것을 듣고, 뜻을 깊이 깨달아 눈물을 흘리고 슬프게 울면서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드뭅니다. 세존님.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깊은 경전을 설하심을 제가 일찍이 얻은 혜안으로서는 이와 같은 경전을 듣지 못했습니다. 세존님, 만약 또 어떤 사람이 이 경을 듣고 믿는 마음이 청정하면, 곧 실상을 깨닫게 될 것인데, 이 사람이야말로 제일 거룩한 공덕을 성취했음을 알아야 합니다. 세존님. 이 실상이라고 하는 것은 곧 상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여래께서 이름이 실상이라고 하신 것입니다.
세존님, 제가 지금 이 경전을 들어 믿고 이해하고 받아 지니는 것은 족히 어렵지 않습니다. 만약 오는 세상인 후오백세에서 거기에 있는 중생이 이경을 듣고 믿고 이해하고 받아서 지닌다면 이 사람은 제일 드물고 거룩한 것이 되겠습니다.
왜냐하면 이 사람은 아상도 없고 인상도 없으며 중생상도 없고 수자상도 없기 때문입니다. 이유가 무엇인가 하면 아상이 곧 상이 아니요, 인상과 중생상과 수자상도 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모든 상을 떠난 것을 이름하여 부처라고 하기 때문입니다. 』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그렇다, 그렇다. 만약 어떤 사람이 이 경을 듣고 놀라지 않고 겁내지 않고 두려워하지 않는다면, 이 사람은 매우 드물고 거룩함을 이루는 것임을 마땅히 알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여래가 설한 제일바라밀은 제일바라밀이 아니고 그 이름이 제일바라밀이기 때문이다. 수보리야, 인욕바라밀도 여래가 인욕바라밀이 아님을 설한 것이며 그 이름이 인욕바라밀이다.
왜냐하면 수보리야, 내가 옛날 가리왕에게 신체를 베일 때, 아상이 없고, 인상이 없었으며, 중생상이 없었고, 수자상이 없었다. 왜냐하면 내가 지난 옛날 마디마디 잘릴 때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있었다면 당연 화를 내고 한스러워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수보리야 또 과거 오백세에 인욕선인이었을 때를 생각해보니 그 생에도 아상이 없고, 인상이 없었으며, 중생상이 없었고, 수자상이 없었다.
그러므로 수보리야. 보살은 일체의 상을 떠나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야한다. 마땅히 모양에도 머무르지 말고 마음을 내며, 소리와 냄새와 맛과 촉감과 관념에도 머무르지 말고 마음을 내야 한다. 마땅히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내야하니, 만약 마음에 머무는 바가 있으면 머무는 것이 아님이 된다.
그러므로 부처님은 보살이 색에 머물지 말고 보시해야 한다고 하신다. 수보리야, 보살은 모든 중생을 이익이 되게 하기 위해 이와 같이 보시해야 한다. 여래가 말한 일체의 모든 상은 곧 상이 아니요, 또 일체 중생이라고 한 것도 곧 중생이 아니다.
수보리야. 여래는 참다운 말을 하는 자며, 실다운 말을 하는 자이며, 사실대로 말하는 자이며, 속이지 않는 자이며, 다른 말을 하지 않는 자이다. 수보리야, 여래가 얻은 법은 실다움도 없고 헛됨도 않다.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마음을 법에 머물러 보시를 하면 마치 어두운 곳에 들어가 보이는 것이 없는 것과 같다. 만약 보살이 법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면 사람에게 눈이 있고 햇빛이 밝게 비추어 갖가지 색을 보게 되는 것과 같다.
수보리야, 오는 세상에 만약 어떤 선남자선여인이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면 여래가 부처님 지혜로써 이 사람을 다 알고 다 보아서, 한량없고 가없는 공덕을 성취케 한다.』
* 희유(希有)라고 한 것은 단지 드물기만 하다는 뜻이 아니라, 참으로 좋고 거룩하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 實相(실상)이란 참다운 모습이다. 그런데 참다운 모습이라고 하면 실체로서 고정 불변의 상이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일체가 일정한 모습이 없음을 실상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것을 깨닫는 것을 實相을 깨닫는다고 한다.
* ‘모든 상을 떠난 것을 이름하여 부처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그 어느 것에도 집착함이 없다. 그렇다고 해서 일체상을 떠난다고 하니까 버리거나 떠나야 할 구체적이고 실체적인 상이 있다고 생각하면 이 또한 상을 가지는 것이다. 그냥 머물러야 할 상이 없음을 깨달으면 그뿐이다. 4相 역시 이와 같아서 자꾸 4상이라고 하니까 4상이라고 하는 고정된 것이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애초 그러한 것이 없으므로 머물러야할 것도 없거니와 버려할 것도 없다.
* 지금까지 불변의 실체라고 여기고 소중한 것이라고 여겼던 것이 실체가 아니라고 하고, 마음을 머무를 바가 없다고 한다. 당연히 놀랍고, 모든 것을 놓아버리려 하니 겁나고 두려울 것이다. 그런데도 이 경을 듣고 전혀 놀랍지도 않고 겁나거나 두렵지도 않다면 그야말로 매우 희유함이 될 것이다.
* 바라밀(波羅蜜) - 앞에서 이미 뜻을 설명하였다. 바라밀에는 여섯 가지가 있다. 이를 육바라밀(六波羅蜜)이라고 한다. 육바라밀은 보시(布施), 지계(持戒), 인욕(忍辱), 정진(精進), 선정(禪定), 지혜(智慧)이다. 보시바라밀이 가장 앞에 있으므로 보시바라밀을 제일바라밀이라고도 하고, 실상을 제대로 보고 위해서는 지혜가 있어야 하고, 다른 바라밀이 지혜에 이르기 위한 것으로 보고 지혜바라밀을 제일바라밀이라고 보기도 한다. 그러나 어느 것을 제일바라밀로 보아도 상관없다. 진정한 보시바라밀이 이루어진다면 지혜바라밀이 함께 이루어지고, 지혜바라밀이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보시바라밀도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 바라밀이라고 하니 바라밀이라는 일정한 모습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러한 것은 없다. 또 바라밀은 여기서 저기로 건너간다는 뜻이지만, 바라밀이 정말로 바라밀이라면 더 이상 건너가야 할 것이 없다. 그가 서 있는 곳이 바로 불국토이기 때문이다. 앞에서 비유한 것처럼, 어둠의 방에서 밝은 방으로 바꾼다고 하지만, 불만 켜지면 그뿐이지 방이 새로운 방으로 바뀌는 것은 아니다. 방 안에 있는 모든 것은 어둠의 방이나 밝은 방이나 동일하다.
보시란 남에게 무엇인가를 베푸는 것이다. 그러나 진정으로 보시바라밀을 행하고 있다면 그에게는 아상도 없고 인상도 없으므로 베품도 없다. 베품이란 내가 남에게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나와 남이 없는 사람에게 베품이란 없다.
인욕(忍辱)이란 굴욕을 참는 것이다. 욕됨, 화가 나는 것, 질투, 한스러움 등을 참는 것이다. 그런데 인욕바라밀을 이루어지고 있다면 참는 것이 아니라 참을 것이 없다. 참을 것이 없으므로 용서할 바도 없다. 그러므로 이름이 인욕바라밀일 뿐이다. 만약 참을 것이 있고 용서할 바가 있다면 참거나 용서하는 내가 있는 것이고, 그 대상이 있는 것이니, 4상이 그대로 남아 있어 인욕바라밀이라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사랑도 이와 같아서 진정으로 사랑한다면 자타불이(自他不二)의 마음을 내는 것이니 누가 누구를 용서할 것인가?
* 석가모니 부처님께서는 과거 생에 사냥 나온 가리왕에게 신체를 잘린 적이 있었다고 한다.
가리왕이 궁녀들과 함께 놀이를 나왔다가 놀이에 지쳐 깜빡 잠이 들었다. 지루해진 궁녀들이 경치에 이끌려 인욕선인이 수도하는 곳까지 우연히 가게 되었다. 잠이 깬 가리왕이 보니 궁녀들이 웬 수행자에게 가 있으므로 질투심이 생겼다. 그래서 화가 나 수행자에게 “너는 어떤 경지를 얻었느냐?”하고 물었다. 그러자 수행자는 아무런 경지를 얻은 것이 없다고 하였다. 어떤 수행을 하느냐고 물으니 “인욕(忍辱)을 공부하나 참는다는 생각도 없다.”고 하였다. 더욱 화가 난 가리왕은 인욕선인의 신체를 잘라냈다. 코와 귀를 잘라내고, 눈을 파냈다. 또 두 볼을 잘라냈다. 그러나 인욕선인은 여전히 평온했다. 이때 제석천이 이 장면을 보고 하늘에서 돌비를 내렸다. 깜짝 놀란 가리왕과 궁녀들이 용서를 빌었다. 제석천은 선인에게 가리왕을 어떻게 할까 물었다. 선인이 대답했다.
“오늘 이 폭군에게 사지가 갈가리 찢겼지만 내가 아무 잡념 없이 참았으면 이 인욕은 옳게 한 것입니다. 그러나 그 아픈 것을 모질고 독한 마음으로 참았다면 그것은 나의 옳은 인욕이 아닙니다. 나의 오늘 이 인욕이 참된 인욕이었다면 이 폭군을 벌하지 마십시오."
곧 돌비는 멈추었다. 가리왕은 달아났다. 제석천은 하늘 나라의 동자와 천녀들을 데리고 내려와 떨어진 살점을 모두 제자리에 붙여주었다. 그리고 선인에게 무수히 절을 하면서 "미래세에 부처가 되시거든 부디 저희들도 제도해 주십시오."하고 간청하였다.
인욕선인은 4상이 없었으므로 누구를 용서해야 한다는 생각도 없었다. 왜냐하면 4상이 없는 사람에게 누가 나를 해친다는 생각도 없기 때문이다.
* 이와 같은 얘기는 《大般涅槃經》<獅子吼菩薩品>에도 있다. 남천축국 단나성을 배경으로 하고 왕의 이름은 가라부라고 되어 있다.
* 이 ≪금강경≫은 수보리 존자가 최상의 깨달음에 이르고자 하는 사람이 어떻게 그 마음을 항복받고 머물러야 하는가를 부처님께 여쭙는 것으로 시작한다. 결론은 그 어디에도 머물지 않는 것이다. 만약 마음이 머무는 바가 있다면 그것은 바르게 머무는 것이 아닌 것이 된다.
* 중생과 보살의 본래 면목이 다름이 없거니와, 만약 중생이라는 생각을 가진다면 자기는 중생이 아니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는 것이므로 곧 아상과 인상이 있게 된다. 또 중생이라고 하니 중생이라는 실체가 있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그러한 것은 없다.
* 우학 해설 - 참된 말 - 대승의 깨달음의 법 등을 설하신 말씀. 모든 중생이 불성을 가지고 있다는 등. 참된 말이란 능력을 깨우치게 하는 말이며 희망을 제시하는 말이다.
실다운 말 - 인과의 법 등을 설하신 것. 모든 중생은 자기 행위에 따라 그 결과를 성취하는 것이지 창조주의 주관도 아니고 우연도 아니다.
있는 그대로의 말 - 진리 모습 그대로를 설하신 말씀. 총체적 인연 그대로 조작이나 억지를 쓰지 않고 설하신 말씀.
속이지 않는 말 - 중생을 현혹하기 위해 하는 말이 아님. 육신이 멸하지 않고 영원히 살 수 있다는 등의 사기성 말이 아니라는 뜻.
다르지 않는 말 - 부처님 말씀이 언뜻 보면 난해하고 서로 모순되는 것 같지만, 여러 가지 방편을 베풀다 보니 그렇게 보일 뿐, 누구나 부처님 세계에 들 수 있다는 대전제와 근본 마음 자리는 결국 똑같다는 등의 말씀은 다르지 않다.
이상을 여래 오어(五語)라고 한다.
* 무실(無實)은 실상(實相)이 무상(無相)임을 말한 것이다. 이 설명 역시 그러함을 말한다. 무허(無虛)란 이 설명이 아무런 근거 없이 헛되이 한 말이 아님을 말한 것이다.
* 法(법) - 모든 것이라는 뜻이다. 보시를 기준으로 본다면 보시하는 주체나 보시를 받는 사람이나 보시하는 물건이나 보시하는 방법 등 일체이다.
* 부처님 말씀이 아니더라도 우리가 생활에서 어느 것에 집착을 하거나 화를 내면 상황을 제대로 볼 수 없고 판단을 제대로 할 수 없다. 애인과 사랑에 빠져 상대방을 보면 모든 것이 좋게만 보이게 되고, 자식에 애착을 가지면 자식을 제대로 판단할 수 없다. 돈에 욕심을 내면 도리에 눈이 멀게 되고, 어떤 사물에만 관심을 가지면 주변에 다른 것이 있어도 무엇이 있는지조차 알 수 없다. 심하게 화가 나 있는 상태에서는 물불을 가리지 못하고 행동하다가 화가 진정된 뒤에는 후회막급이 된다
'■ 불교이야기 ■ > 한글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금강경 16 - 능정업장분 (0) | 2010.04.18 |
---|---|
한글 금강경 15 - 지경공덕분 (0) | 2010.04.18 |
한글 금강경 13 - 여법수지분 (0) | 2010.04.17 |
한글 금강경 12 - 존중정교분 (0) | 2010.04.17 |
한글 금강경 11 - 무위복승분 (0) | 2010.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