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경무아분 제17 - 구경에는 '나'가 없다
그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님, 선남자와 선여인이 무상정등각의 마음을 내었으면 마땅히 어떻게 머물며, 어떻게 그 마음을 항복 받아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무상정등각의 마음을 내었으면 마땅히 이와 같이 마음을 내야한다.
「내가 마땅히 모든 중생을 제도하리라.」
일체 중생을 제도하고 나서는 실제로 한 중생도 제도함이 없다.
왜냐하면 수보리야, 만약 보살에게 아상과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있다면 곧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 까닭이 무엇인가 하면 수보리야, 실제로 법이 있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낸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연등불 처소에서 법이 있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느냐 아니냐?』
『아닙니다. 세존님. 제가 부처님께서 설명하신 뜻을 이해하기로는 실로 법이 있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이 아닙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렇다 그렇다. 수보리야. 실제로 법이 있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이 아니다. 수보리야, 만약 법이 있어서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면 연등부처님께서 나에게
「너는 내세에 마땅히 부처를 이루어 석가모니라고 부를 것이다.」
라는 수기를 주시지 않으셨을 것이다.
실로 법이 있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음이 없으므로 연등부처님께서 나아게 수기를 주셔서 이와 같은 말씀을 하셨다.
「너는 내세에 마땅히 부처를 이루어 석가모니라고 부를 것이다.」
왜냐하면 여래라고 하는 것은 모든 법이 여여하다는 것이니, 만약 어떤 사람이 말하되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한다면, 수보리야 실로 법이 있어서 부처님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음이 아니다. 수보리야,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함은 그 속에는 실다움이 없고 헛됨도 없다.
그러므로 여래가 설하되
「일체 법이 모두 불법이다.」
고 하니. 수보리야 말한 바 일체법은 일체법이 아니며 그러므로 일체법이라고 이름 한다. 수보리야, 비유하면 사람 몸이 크다고 하는 것과 같다.』
수보리가 말하였다.
『세존님, 여래께서 사람 몸이 크다고 하신 것은 곧 큰 몸이 아닌 것이 되며, 그 이름이 큰 몸입니다.』
『수보리야, 보살도 역시 이와 같다. 만약 이와 같이 말하되, 「내가 마땅히 한량없는 중생을 제도하겠다.」고 하면 곧 보살이라고 이름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수보리야, 실제로 법이 있어서 보살이라고 이름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부처님이 설한 일체법은 나도 없고 남도 없으며 중생도 없고 수자도 없다.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이와 같이 말하되, 「내가 마땅히 부처님 나라를 장엄하게 하겠다.」한다면 그는 보살이라고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여래가 설한 부처님 나라를 장엄하게 한다는 것은 장엄이 아니요 그 이름이 장엄이기 때문이다.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무아법을 통달한 자이면 여래는 그가 참다운 보살이라고 이름 한다.』
* 무상정등각이란 이미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최상의 깨달음이며, 절대 자유이며, 최고 행복이다. 사람들은 이런 상태에 들기 위해 수많은 지식을 얻으려 하고, 재산과 명예와 권력을 가지려고 한다. 그리하여 거기에 집착한다. 심지어는 하잘 것 없는 자존심에 얽매여 고집하고 지지 않으려고 한다. 여기서 생각을 바꾸어 과연 그러한 것이 행복과 자유를 가져다 줄 것인지 진지하게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이 경에서 이야기하듯이 어떤 상에도 머물지 않는 것은 하지 않더라도, 지금 내가 추구하는 것이 진정으로 집착할 가치가 있는 것인지 돌아보기만 해도 ≪금걍경≫을 받아 지녀 읽는 가치가 클 것이다.
* 慧能 해설 - 보살이 만약 중생을 가히 제도할 게 있다고 보면 이는 곧 아상이요, 능히 중생들 제도하는 마음이 있으면 곧 인상이요, 열반을 가히 구한다 이르면 곧 중생상이요, 열반을 가히 증득할 게 있다고 보면 수자상이니, 이 네 가지 상이 있으면 곧 보살이 아니다.
*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이란 일체가 무상(無相)하여 얻을 것이 없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다. 얻는 나도 없고 얻을 대상도 없음을 깨닫는 것이다.
* 무실무허(無實無虛) - 이미 제14분에 나와 있다. 무상정등각을 한다는 것은 일체가 무상임을 알아 마음이 그 어디에도 머물지 않는 것을 말함이다. 그러므로 얻음이 없으니 무실(無實)이라 한 것이다. 그런데 얻음이 없으나 무상정등각이 아무 것도 아닌가 하면 그렇지 않다. 승찬(僧璨) 대사가 ≪신심명≫에서 “터럭만큼이라도 차이가 있으면 천지처럼 멀어진다.(毫釐有差 天地懸隔)”고 한 것처럼 따로 얻는 것은 없지만 어느 것에도 얽매이지 않아 자유로운 경지가 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그야말로 천지현격(天地懸隔)이다. 그래서 무허(無虛)라고 한 것이다. 또한 무상(無相)이라고 하면 아무 것도 없이 텅비어 눈 앞에 보이는 것들이 모두 허깨비요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인가 하면 그렇지 않다. 소나무는 소나무요, 물은 물이며, 땅은 땅이요 하늘은 하늘이다. 그러므로 무허(無虛)이다.
* 여래라 그냥 그대로라는 뜻이다. 그냥 그대로의 일체 법(法)이 불(佛)이다. 불(佛)이 바로 일체 법이다. 다만 중생들은 여여(如如)하게 보지 못하여, 탐착하게 된다. 그래서 번뇌가 생기고, 얽매인다. 여여란 달리 말하면 무상(無相)이다. 그러므로 일체법이라고 하면 일체법이라는 상(相)을 짓기 쉬우니, 이름을 일체법이라고 한다고 하는 것이다.
* 장대(長大) - 이는 상대적인 말이다. 길다거나 크다는 것은 그 實(실)이 없다. 그냥 길다거나 크다고 할 뿐이다. 만약 장대란 말에 집착하여 長大(장대)함이란 상을 지으면 이미 천지현격(天地懸隔)이 되어버린다. 장대란 말이 상(相)이 없듯이 일체법 역시 이와 같다.
* 「내가 마땅히 한량없는 중생을 제도하겠다.」고 하면 ‘나’가 있고 중생이라는 남이 있게 된다. 또 중생이라고 하면 깨닫지 못한 사람이니, 중생이라는 생각을 가진다는 것은 자기 자신을 중생과 다른 깨달음을 얻은 존재로 생각한다는 뜻이다. 나가 있으니 자연적으로 나라는 존재에 대한 집착 또는 생명에 대한 집착도 그대로 있게 된다. 사상(四相)이 그대로 존재함이 되니 보살일 수 없다. 부처님께서 설하신 일체법이란 사상(四相)이 없음을 말하거니와 사상(四相)이 없다는 생각에도 매달리지 않음을 말한다.
* 부처님의 진리의 세계는 상대의 개념을 초월한 것이다. 일체의 상(相)에 집착하지 않으면 저절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어져 나오는 보살이 불국토를 장엄한다고 할 때도 장엄하지 않은 것과 상대되는 개념이 아니다. 장엄이란 원래의 청정한 모습을 회복하는 것일 뿐이며 어떤 상을 갖추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 무아법자(無我法者) 즉 사상(四相)을 가지고 있지 않는 사람. 사상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생각에도 집착하지 않는 사람을 일러 보살이라고 한다.
'■ 불교이야기 ■ > 한글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금강경 19 - 법계통화분 (0) | 2010.04.19 |
---|---|
한글 금강경 18 - 일체동관분 (0) | 2010.04.19 |
한글 금강경 16 - 능정업장분 (0) | 2010.04.18 |
한글 금강경 15 - 지경공덕분 (0) | 2010.04.18 |
한글 금강경 14 - 이상적멸분 (0) | 2010.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