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子曰(자왈) 爲善者(위선자) 天報之以福(천보지이복) 爲不善者(위불선자) 天報之以禍(천보지이화) 공자가 말하였다. 착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복으로써 갚고, 착하지 않는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재앙으로써 갚는다. |
2 |
莊子曰(장자왈) 一日不念善(일일불념선) 諸惡皆自起(제악개자기) 장자가 말하였다. 하루라도 선을 생각하지 않으면 모든 악이 다 저절로 일어난다. |
3 |
司馬溫公曰(사마온공왈) 積金以遺子孫(적금이유자손) 未必子孫能盡守(미필자손능진수) 積書以遺子孫(적서이유자손) 未必子孫能盡讀(미필자손능진독) 不如積陰德於冥冥之中(불여적음덕어명명지중) 以爲子孫之計也(이위자손지계야) 사마온공이 말하였다. 돈을 모아 자손에게 물려주더라도 자손이 반드시 다 지키지 못할 것이며, 책을 모아 자손에게 물려주더라도 자손이 반드시 다 읽지 못할 것이니, 가만히 남이 모르는 덕행을 쌓음으로써 자손을 위한 계책으로 하는 것만 못하다. |
4 |
景行錄曰(경행록왈) 恩義廣施(은의광시) 人生何處不相逢(인생하처불상봉) 讐怨莫結(수원막결) 路逢狹處難回避(로봉협처난회피) 경행록에 말하였다. 은혜와 의리를 널리 베풀어라. 살다보면 어디서인들 서로 만나지 않을 것인가? 원수를 갖지 말며, 원한을 맺지 마라. 길이 좁은 데서 만나면 피하기 어렵다. |
5 |
東岳聖帝垂訓曰(동악성제수훈왈) 一日行善(일일행선) 福雖未至(복수미지) 禍自遠矣(화자원의) 一日行惡(일일행악) 禍雖未至(화수미지) 福自遠矣(복자원의) 동악성제가 가르침을 내려 말하였다. 하루 선한 일을 한다고 해서 복이 오지는 않으나 재앙은 저절로 멀어지며, 하루 악을 행한다고 해서 재앙이 오는 것은 아니지만 복은 저절로 멀어진다. |
6 |
子曰(자왈) 順天者存(순천자존) 逆天者亡(역천자망) 공자가 말하였다. 하늘을 따르는 사람은 살고 하늘을 그슬리는 사람은 죽는다. |
7 |
益智書云(익지서운) 惡鑵若滿(악관약만) 天必誅之(천필주지) 익지서에 말하였다. 악행이 가득하면 하늘은 반드시 벤다. |
8 |
種瓜得瓜(종과득과) 種豆得豆(종두득두) 天網恢恢(천망회회) 疎而不漏(소이불루) 오이를 심으면 오이를 얻고 콩을 심으면 콩을 얻으니 하늘 그물이 넓고 넓어서 성글어도 새지 않는다. |
9 |
子曰(자왈) 死生有命(사생유명) 富貴在天(부귀재천) 공자가 말하였다. 죽고 사는 것이 운명이 있는 것이요, 부유하고 귀한 것이 하늘에 달려 있다. |
10 |
太公曰(태공왈) 孝於親(효어친) 子亦孝之(자역효지) 身旣不孝(신기불효) 子何孝焉(자하효언) 태공이 말하였다. 부모에게 효도하면 자식 역시 효도한다. 자신이 불효하는데 자식이 어찌 효도하겠는가? |
11 |
性理書云(성리서운) 見人之善而尋己之善(견인지선이심기지선) 見人之惡而尋己之惡(견인지악이심기지악) 如此方是有益(여차방시유익) 성리서에 말하였다. 남의 착한 것을 보면 나의 착한 것을 찾고, 남의 악한 것을 보면 나의 악한 것을 찾으라. 이렇게 하면 바야흐로 이익이 있다. |
12 |
景行錄云(경행록운) 大丈夫當容人(대장부당용인) 無爲人所容(무위인소용) 경행록에 말하였다. 대장부는 마땅히 남을 용서해야하지만 남의 용서를 받는 바가 되어서는 안 된다. |
13 |
太公曰(태공왈) 勿以貴己而賤人(물이귀기이천인) 勿以自大而蔑小(물이자대이멸소) 勿以恃勇而輕敵(물이시용이경적) 태공이 말하였다. 자기를 귀하게 여겨 남을 천하게 여기지 말며, 자기가 크다고 해서 작은 것을 멸시하지 말며, 용맹을 믿고 적을 가볍게 여기지 마라. |
14 |
道吾善者是吾賊(도오선자시오적) 道吾惡者是吾師(도오악자시오사) 나에게 착하다고 치켜세우는 사람은 나에게 해로운 사람이요, 나에게 나쁘다고 충고하는 사람은 나의 스승이다. |
15 |
太公曰(태공왈) 勤爲無價之寶(근위무가지보) 愼是護身之符(신시호신지부) 태공이 말하였다. 부지런함은 무한한 가치를 지닌 보배이며, 삼가는 것은 몸을 지키는 부적이다. |
16 |
景行錄云(경행록운) 保生者寡慾(보생자과욕) 保身者避名(보신자피명) 無慾易(무욕이) 無名難(무명난) 경행록에 말하였다 생명을 보전하려는 사람은 욕심을 적게 하고, 몸을 보전하려는 사람은 이름 날리는 것을 피한다. 욕심을 적게 하는 것은 쉬우나 이름 날리는 것을 피하는 것은 어렵다. |
17 |
子曰(자왈) 衆好之(중호지) 必察焉(필찰언) 衆惡之(중오지) 必察焉(필찰언) 공자가 말하였다. 많은 사람이 좋아하여도 반드시 살피고 모든 사람이 싫어하여도 반드시 살펴야 한다. |
18 |
酒中不語眞君子(주중불어진군자) 財上分明大丈夫(재상분명대장부) 술을 먹어도 쓸데없는 말이 없으면 참다운 선비이며, 재산에 대해 분명하다면 대장부이다. |
19 |
太公曰(태공왈) 傷人之語(상인지어) 還是自傷(환시자상) 含血噴人(함혈분인) 先汚其口(선오기구) 태공이 말하였다. 남을 다치게 하는 말은 도리어 자신을 다치게 하니 피를 머금어 남에게 뿜으면 자기 입이 먼저 더러워진다. |
20 |
太公曰(태공왈) 瓜田不納履(과전불납이) 李下不整冠(이하부정관) 태공이 말하였다. 오이 밭에서는 신발을 고쳐 신지 않고, 오얏나무 아래에서는 관을 고쳐 쓰지 않는다. |
'■ 책 이야기 ■ > 명언명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심보감명언 80 - 3 (0) | 2008.08.06 |
---|---|
명심보감 명언 80 - 2 (0) | 2008.08.05 |
명언명구 - 04 (0) | 2008.07.04 |
중1도덕의 명언 (5) | 2008.04.23 |
명언명구 - 03 (0) | 2007.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