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解行發心(해행발심)
解行發心者(해행발심자) 當知轉勝(당지전승)
解行發心(해행발심)이라는 것은 마땅히 알지니, 신성취발심보다 더욱 수승하다.
以是菩薩從初正信已來(이시보살종초정신이래) 於第一阿僧祇劫將欲滿故(어제일아승기겁장욕만고) 於眞如法中(어진여법중) 深解現前(심해현전) 所修離相(소수리상)
보살이 처음 正信(정신)으로부터 오면서 제일아승기겁이 다 차려고 할 때이므로, 진여법 가운데 깊은 이해가 앞에 나타나, 수행하는 바가 相(상)을 여읜다.
* 解行發心(해행발심) : 십주와 십행이 원만하여 십회향에서 발심함.
* 第一阿僧祇劫(제일아승기겁) : 석가모니 부처님이 발심하여 성불하는 데 3아승기겁이 걸렸다고 하며, 제일아승기겁이란 앞에 나온 신성취발심을 이룬 기간이다.
* 深解現前(심해현전) : 이해는 하나 증득은 아니다.
* 지운 : 해행발심에서는 我空과 法空을 체득하고 진여법을 이해하여, 성문과 연각의 경지에 든다. 상사각(相似覺) 발심이다.
* 憨山 : 이 보살은 정신(正信)으로부터 십회향의 마음이 가득 찬 데에 이르기까지 시간적으로 제일무수겁을 경유했다면 앞에서 일만 겁을 수행했던 것을 능가하고, 차별적인 모습을 떠난 진여행을 닦는다면 앞의 보살이 십신으로 불상에 공양하고 스님을 공경하면서 모습에 집착하여 수행하는 것을 능가한다.
이 보살은 일체법이 심식에 상즉한 자성임을 알아 다른 사람을 경유하지 않는 깨달음으로 지혜법신을 성취한다. 그 때문에 분명히 심오하게 이해하기 때문에 진여법성의 이치를 따라서 집착 없는 수행을 하게 된다.
* 元曉 : 於第一阿僧祇劫將欲滿故 於眞如法中 深解現前이라 한 것은 십회향의 자리에서 평등공(平等空)을 얻었기 때문에 진여에 대한 깊은 이해가 나타난 것이니, 지전(地前)의 일아승기(一阿僧祇)가 차려고 하기 때문이니 이는 해행에서 발심을 든 것이다.
以知法性體無慳貪故(이지법성체무간탐고) 隨順修行壇波羅蜜(수순수행단바라밀)
법성의 본체가 아끼거나 탐함이 없음을 알기 때문에, 수순하여 壇波羅蜜(단바라밀)을 수행하며,
* 慳(간) : 아끼다.
* 元曉 : 십행의 자리에서 법공(法空)을 얻었기 때문에 법계에 수순하여 육도를 닦는 것이니, 이는 발심에 의거한 해행을 나타낸 것이다.
* 十行(십행) : 환희행(歡喜行), 요익행(饒益行), 무진한행(無瞋恨行), 무진행(無盡行), 이치란행(離癡亂行), 선현행(善現行), 무착행(無着行), 존중행(尊重行), 선법행(善法行), 진실행(眞實行)
* 지운
十信 |
十解 |
十行 |
十回向 |
十地 |
佛 |
信成就發心 |
解行發心 |
證發心 | |||
人空 |
法空 |
平等空 |
진여가 드러남 |
||
외범부,범부각 |
내범부, 이승(초지까지) 상사각 |
수분각 |
구경각 |
以知法性無染(이지법성무염) 離五欲過故(리오욕과고) 隨順修行尸波羅蜜(수순수항시바라밀)
법성이 오염됨이 없고 五欲(오욕)의 허물을 떠남을 알기 때문에 수순하여 尸波羅蜜(시바라밀)을 수행하며,
* 五欲(오욕) : 재물욕, 색욕, 식욕, 수면욕, 명예욕
以知法性無苦離瞋惱故(이지법성무고리진뇌고) 隨順修行羼提波羅蜜(수순수행찬제바라밀)
법성이 괴로움이 없어 성냄의 번뇌를 떠남을 알기 때문에 수순하여 羼提波羅蜜(찬제바라밀을 수행하며,
* 羼(찬) : 양이 뒤섞임. 여기서는 음역
以知法性無身心相(이지법성무신심상) 離懈怠故(리해태고) 隨順修行毘黎耶波羅蜜(수순수행비리야바라밀)
법성이 身心(신심)의 상이 없어 게으름을 떠남을 알기 때문에 수순하여 毘黎耶波羅蜜(비리야바라밀)을 수행하며,
以知法性常定體無亂故(이지법성상정체무란고) 隨順修行禪波羅蜜(수순수행선바라밀)
법성이 항상 안정되어 그 체가 어지러움이 없음을 알기 때문에 수순하여 禪波羅蜜(선바라밀)을 수행하며,
以知法性體明離無明故(이지법성체명리무명고) 隨順修行般若波羅蜜(수순수행반야바라밀)
법성의 자체는 밝아 무명을 여의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수순하여 般若波羅蜜(반야바라밀)을 수행한다.
* 육바라밀 : 壇(dana)波羅蜜 - 보시, 尸(sila)波羅蜜 - 지계, 羼提(ksanti)波羅蜜 - 인욕, 毘黎耶(virya)波羅蜜 - 정진, 禪(dhryana)波羅蜜 - 선정, 般若(prajna)波羅蜜 - 반야
* 해행발심에서의 육바라밀은 진여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내가 재물이 아깝지만 아까운 마음을 참고 보시하는 것이 아니라, 진여법 자체에는 인색함과 탐욕이 없음을 이해하여 자연스럽게 보시를 하게 되는 것이다.
'■ 불교이야기 ■ > 대승기신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승기신론 - 수행신심분 - 사신(四信) (0) | 2013.10.04 |
---|---|
대승기신론 - 해석분 - 분별발취도상 - 증발심 (0) | 2013.10.01 |
대승기신론 - 해석분 - 분별발취도상 - 신성취발심 (0) | 2013.09.27 |
대승기신론 - 해석분 - 분별발취도상 - 발심의 인연 (0) | 2013.09.27 |
대승기신론 - 해석분 - 대치사집 - 법아견, 구경망집을 여읨 (0) | 2013.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