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
如可意華 色好無香 工語如是 不行無得 여가의화 색호무향 공어여시 불행무득 보기는 좋으나 향기 없는 꽃처럼, 좋은 말도 이와 같아, 행하지 않으면 결실이 없다. 아무리 말을 잘 하고, 다른 사람에게 설법까지 하더라도 스스로 수행하지 않으면 한 걸음도 나아갈 수 없다. 이는 마치 음식을 먹는 요령을 잘 알고 설명까지 하더라도 스스로 먹지 않으면 배부르지 않는 것과 같다. |
54 |
花香不逆風 芙蓉栴檀香 德香逆風薰 德人徧聞香 화향불역풍 부용전단향 덕향역풍훈 덕인변문향 꽃 향기는 바람을 거슬러 흐르지 못한다. 찬다나향, 타가라향, 말리카향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선한 사람의 향기는 거슬로 흘러가 어느 곳에나 퍼진다. |
57 |
戒具成就 行無放逸 定意度脫 長離魔道 계구성취 행무방일 정의도탈 장리마도 계를 갖추어 지키고 행실이 흐트러지지 않으며 참 지혜에 의해 해방된 사람은 삿된 길을 멀리 떠난다. |
60 |
不寐夜長 疲倦道長 愚生死長 莫知正法 불매야장 피권도장 우생사장 막지정법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에게 밤은 길고, 피곤한 사람에게 길은 멀다. 진리를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에게 생사 윤회의 길은 멀다. |
63 |
愚者自稱愚 常知善黠慧 愚人自稱智 是謂愚中甚 우자자칭우 상지선힐혜 우인자칭지 시위우중심 어리석은 사람이 스스로 어리석다 하는 사람은, 적어도 그 정도는 현명하다. 어리석은 사람이 스스로 지혜롭다고 하는 사람이야말로 가장 어리석다고 할 수 있다. 자기가 어리석은 줄 알면, 큰 허물이 적다. 어리석음에도 불구하고 자기가 어리석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이야말로 아주 큰 허물을 짓게 된다. 그는 자기가 어리석은 줄을 몰라, 겸손하고 조심하지도 않으며, 배우려고 하지도 않기 때문에 더욱 큰 잘못을 저질러 번뇌 속에 헤맨다. |
69 |
過罪未熟 愚以恬淡 至期熟時 自受大罪 과죄미숙 우이염담 지기숙시 자수대죄 허물과 죄가 아직 무르익지 않았을 때, 어리석은 자는 깨닫지 못한다. 무르익을 때가 되면 큰 죄를 받게 된다. 인과의 도리는 피해갈 수 없다. 그것은 법칙이어서 무거운 물건은 가라않고, 가벼운 물건은 뜨듯이 어찌할 수 없다. 이를 피하는 방법은 참회를 하고 열심히 선행하는 것이다. 아직 아무런 응보가 없어 인과를 무시하고 행동하면 반드시 아주 큰 벌을 받게 된다. |
71 |
惡不卽時 如穀牛乳 罪在陰伺 如灰覆火 악부즉시 여곡우유 죄재음사 여회복화 악은 즉시 오지 않으니 방금 짠 우유가 바로 상하지 않는 것처럼. 죄는 재 속에 덮여 있는 불씨처럼 가만히 그를 따른다. |
78 |
常避無義 不親愚人 思從賢友 押附上士 상피무의 불친우인 사종현우 압부상사 늘 의롭지 않은 사람을 피하고 어리석은 사람과 가까이 하지 말며, 어진 친구를 생각하고 훌륭한 이에게 의지하라. |
80 |
弓工調角 水人調船 材匠調木 智者調身 궁공조각 수인조선 재장조목 지자조신 활 기술자는 뿔을 다듬고, 사공은 배를 다루며 목수는 나무를 다듬듯, 지혜로운 사람은 자신을 다듬는다. |
81 |
譬如厚石 風不能移 智者意重 毁譽不傾 비여후석 풍불능이 지자의중 훼예불경 무거운 돌은 바람이 움직이지 못하듯, 지혜로운 이는 뜻이 무거워 헐뜯거나 칭찬하거나 마음이 기울어지지 않는다. |
'■ 책 이야기 ■ > 법구경의 명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려 뽑은 법구경06 (0) | 2009.09.07 |
---|---|
가려 뽑은 법구경05 (0) | 2009.09.05 |
가려 뽑은 법구경04 (0) | 2009.09.03 |
가려 뽑은 법구경03 (0) | 2009.09.01 |
가려 뽑은 법구경01 (0) | 2009.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