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살계 보살계 해석은 조계종의 것임. 재가 제자에 맞게 해석하였다. ◆ 十重大戒(열 가지 중요하고 큰 계율. 꼭 지켜야 할 계율) 第一 不殺生戒:죽이지 말고 방생하라. 第二 不偸盜戒:훔치지 말고 보시하라. 第三 不邪淫戒:사음하지 말고 청정행을 지켜라. 第四 不妄語戒:거짓말하지 말고 바른 .. ■ 불교이야기 ■/불교 입문 2014.04.21
오관게(식사 때 하는 서원) 오관게(五觀偈) 1. 이 공양이 오기전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수고하였는가를 관한다. 2. 자기의 덕행에 공양을 받기에 부끄럽지 아니한가 관한다. 3. 마음을 악으로부터 보호하고 허물을 여의는 것은 탐.진치를 버리는것이 으뜸임을 관한다. 4. 음식을 약으로 알아 고달픔을 치료함을 관한.. ■ 불교이야기 ■/불교 입문 2011.07.18
삼법인 삼법인 삼법인(三法印)의 인(印)은 도장이니, 부처님께서 설하신 진리임을 확인하는 핵심이 된다는 뜻이다. 불교의 핵심사상인 연기법의 실상을 잘 설명해주는 가르침이다. 삼법인은 제행무상(諸行無常), 제법무아(諸法無我), 일체개고(一切皆苦)를 말하는데, 일체개고 대신 성취해야 할 이상인 열반.. ■ 불교이야기 ■/불교 입문 2010.06.13
백팔번뇌 백팔번뇌 삶 속에서 중생들이 겪는 모든 번뇌를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 여러가지 설이 있다. 1. 육근(六根:眼耳鼻舌身意)이 육경(六境:色聲香味觸法)을 하여 육식(六識:眼識, 耳識, 鼻識, 舌識, 身識, 意識)을 일으킬 때, 각각 좋음(好), 나쁨(惡 ), 좋음도 나쁨도 아님(平)이 있어 18이 되며, 여기에 각각 더.. ■ 불교이야기 ■/불교 입문 2010.02.28
삼귀의와 사홍서원 삼귀의와 사홍서원 삼귀의(三歸依)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歸依佛 兩足尊 : 귀의불 양족존)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歸依法 離欲尊 : 귀의법 이욕존) 거룩한 스님들께 귀의합니다.(歸依僧 衆中尊 : 귀의승 중중존) 사홍서원(四弘誓願) 가없는 중생을 다 건지오리다.(衆生無邊誓願度 : 중생무.. ■ 불교이야기 ■/불교 입문 2010.02.06
불교의 세계관 육도 삼계 육도 삼계 무색계 (無色界) 비상비비상처천(非想非非想處天) 무소유천(無所有天) 식무변처천(識無邊處天) 공무변처천(空無邊處天) 색계 색구경천(色究竟天=유정천有頂天) 사선천 정거천(무번천~색구경천) 선견천(善見天) 선현천(善現天) 무열천(無熱天) 무번천(無煩天) 무상천(無想天) 광과.. ■ 불교이야기 ■/불교 입문 2009.12.28
팔정도 1. 正見(바른 견해) 나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이해하는 것을 말합니다. 잘못된 견해를 가지고 있으면 모든 것이 잘못된 방향으로 흘러 결국 괴로움을 불러오지만, 바른 견해를 가지고 있으면 모든 것이 바른 방향으로 가게 되어 마침내 모든 괴로움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그러면 어떻게 보는 .. ■ 불교이야기 ■/불교 입문 2009.12.19
사성제 四聖諦(사성제)의 諦(제)는 체로 읽기도 합니다. 산스크리트어의 satya, 팔리어의 sacca를 번역한 것입니다. 진실, 진리라는 뜻입니다. 四聖諦(사성제)는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라는 뜻입니다.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으신 것이 바로 사성제와 연기설입니다. 사성제는 苦聖諦(고성제) .. ■ 불교이야기 ■/불교 입문 2009.12.12
육바라밀 불교의 최종 목표는 부처가 되는 것입니다. 부처가 된다는 것은 모든 번뇌를 벗어나 자유롭고 행복한 경지에 이른다는 말입니다. 일시적으로 그렇게 되는 것이 아니라 영구적으로 그렇게 되는 것입니다. 더 이상 윤회하지 않는 것입니다. 지금 현재의 상태를 번뇌 속에 싸여있는 상태라고 한다면 여기.. ■ 불교이야기 ■/불교 입문 2009.10.05
오계(五戒) * 불교에 입문하고 열심히 수행한 사람들이 저지르기 쉬운 잘못이 있다. 열심히 공부하고 수행하다보면 나름대로 깨달았다는 자부심이 생긴다. 물론 자부심이라는 것 자체가 실은 아직 가야할 길이 많다는 것을 말해주기도 한다. 그런데 깨달았다는 생각이 들면서 그 동안의 수행을 멈춘다. 그러면서 .. ■ 불교이야기 ■/불교 입문 2009.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