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기신론 - 해석분 - 심생멸문 - 불각 • 不覺(불각) - 根本不覺(근본불각) 所言不覺義者(소언불각의자) 謂不如實知眞如法一故(위불여실지진여법일고) 不覺心起(불각심기) 而有其念(이유기념) 念無自相(념무자상) 不離本覺(불리본각) 말한 바 不覺(불각)의 뜻이란 진여법이 하나임을 참답게 모르기 때문에 不覺心(불각심)..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08.26
대승기신론 - 해석분 - 심생멸문 - 본각 • 本覺(본각) - 隨染本覺(수염본각) 復次本覺(부차본각) 隨染分別(수염분별) 生二種相(생이종상) 與彼本覺(여피본각) 不相捨離(불상사리). 또 다음 본각은 물듦에 따라 분별하면 두 가지 상을 내니 저 本覺(본각)과 더불어 서로 버리거나 떠나지 않는다. 一者智淨相(일자지정상) 二者不..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08.25
대승기신론 - 해석분 - 심생멸문 - 시각 • 始覺(시각) - 不覺(불각), 凡夫覺(범부각) 又以覺心源故(우이각심원고) 名究竟覺(명구경각) 不覺心源故(불각심원고) 非究竟覺(비구경각). 또 마음의 근원을 깨달았으므로 구경각이라고 하고, 마음의 근원을 깨닫지 못했으므로 구경각이 아니라고 한다. * 元曉 : 전체적으로 표시한 것..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08.22
대승기신론 - 해석분 - 심생멸문 - 아리야식, 본각과 시각 (3) 心生滅門(심생멸문) ① 心生滅(심생멸) ○ 阿梨耶識(아리야식) 心生滅者(심생멸자) 依如來藏故(의여래장고) 有生滅心(유생멸심), 心生滅(심생멸)이란 여래장에 의지하기 때문에 생멸심이 있는 것이다. * 如來藏(여래장)이란 진여가 무명에 덮여 있는 것을 말한다. * 元曉 : 依如來藏故 ..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08.18
대승기신론 - 해석분 - 심진여문 3. 解釋分(해석분) 1) 總說(총설) 已說立義分(이설입의분) 次說解釋分(차설해석분) 이미 입의분은 설명하였으니, 다음은 해석분을 설명하겠다. 解釋分有三種(해석분유삼종) 云何爲三(운하위삼) 一者顯示正義(일자현시정의) 二者對治邪執(이자대치사집) 三者分別發趣道相(삼자분별발취도..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08.17
대승기신론-입의분 2. 立義分(입의분) 1) 대승의 두 가지, 法과 義 已說因緣分(이설인연분) 次說立義分(차설입의분) 이미 인연분을 설하였으니, 다음에는 입의분을 설한다. 摩訶衍者(마하연자) 總說有二種(총설유이종) 云何爲二(운하위이) 一者法(일자법) 二者義(이자의) 대승이라는 것은 전체를 설하면 두 가..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08.17
대승기신론 - 인연분 Ⅱ. 正宗分(정종분) 1. 因緣分(인연분) 1) 論(논)을 짓는 인연 初說因緣分(초설인연분) 먼저 인연분을 설한다. 問曰(문왈) 有何因緣(유하인연) 而造此論(이조차론) 묻는다. 어떤 인연이 있어 이 논을 짓는가? 答曰(답왈) 是因緣有八種(시인연유팔종) 云何爲八(운하위팔) 답한다. 이 인연에는 ..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08.17
대승기신론-서분 大乘起信論 * 대승기신론에는 작은 제목들이 없다. 편의상 붙인 것이다. * 저자 : 아쉬바고사(Ashvaghosa;馬鳴), 부처님 입멸 후 600년경 중인도의 코살라국 쉬라바스티(Sravasti:舍衛城)에서 살았다. 처음에는 외도를 따르다가 나중에 불교에 귀의하였다. 혹자는 대승기신론의 범어본이 없음을 ..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