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행은 수행의 바탕 계행은 수행의 바탕 도시를 세우려는 자는 먼저 그 땅에서 나무밑둥이나 가시덤불을 치우고 그 땅을 반반하게 고른 다음 그 위에 거리와 광장과 건물을 세운다. 마찬가지로 출가자는 계행에 의존하고 계행을 기반으로 확립시킴으로써 다섯 가지 도덕적 능력을 자기 스스로 중진시킨다. .. ■ 불교이야기 ■/불경 구절 2013.11.07
소금덩이와 물 소금덩이와 물 어떤 사람이 물이 조금 밖에 없는 잔에 소금덩이를 넣는다면, 그 소금덩이 때문에 짜서 마실 수 없을 것이다. 어떤 사람이 갠지스 강에 소금덩이를 넣는다면, 갠지스 강에 모인 물이 많아, 소금덩이 때문에 짜서 마실 수 없게 되지 않을 것이다. ≪앙굿다라 니까야≫의 <소.. ■ 불교이야기 ■/불경 구절 2013.10.24
방일하지 마라 방일하지 마라 가을의 구름 한 점 없는 높은 창공에 떠오르는 태양은 허공의 모든 어둠을 흩어버리면서 빛나고 반짝이고 광휘롭듯이, 유익한 법들은 그것이 무엇이건 간에 모두 불방일을 뿌리로 하고 불방일로 모이고 불방일이 으뜸이라고 불려진다. 《앙굿따라 니까야》<불방일경> ■ 불교이야기 ■/불경 구절 2013.08.16
평등 평등 강가, 아무나, 아찌라와미, 사라부, 마히와 같은 큰 강들이 큰 바다에 이르면, 이전의 이름과 성을 버리고 큰 바다라는 이름을 가지게 된다. 이처럼 끄샤트리아, 바라문, 와이샤, 수드라의 네 가지 계급이 여래가 선언한 법과 율에 의지해서 집을 나와 출가하면 이전의 이름과 성을 버.. ■ 불교이야기 ■/불경 구절 2013.08.09
불퇴전의 마음 챙김 불퇴전의 마음 챙김 옷이 불타고 머리가 불타는 자는 옷이나 머리의 불을 끄기 위해서 아주 강한 의욕과 노력과 관심과 분발과 불퇴전과 마음 챙김과 알아차림을 행한다. 이처럼 비구는 나쁘고 해로운 법들을 제거하기 위해 강한 의욕과 노력과 관심과 분발과 불퇴전과 마음 챙김과 알아.. ■ 불교이야기 ■/불경 구절 2013.07.27
해야 할 일과 하지 않아야 할 일 해야 할 일과 하지 않아야 할 일 하지 않아야 할 일을 하고 해야 할 일을 하지 않는 잘못을 범하면 그의 명성과 행복은 흩어지게 된다. 《앙굿따라 니까야》<합리적인 행위의 경> ■ 불교이야기 ■/불경 구절 2013.07.18
자애의 마음을 닦으면 자애의 마음을 닦으면 만약 비구가 손가락 튀기는 순간만큼이라도 자애의 마음을 닦으면 그를 비구라고 한다. 그의 선(禪)은 헛되지 않으며, 위의로써 머물고, 스승의 교법을 받들고, 교훈을 받아들이며, 백성들이 주는 보람된 공양을 먹는다. 그러니 자애의 마음을 많이 공부 짓는 자들에.. ■ 불교이야기 ■/불경 구절 2013.07.13
반딧불로 수미산을 태울 수 없다 반딧불로 수미산을 태울 수 없다 반딧불로 수미산을 태우려하나 마침내 태울 수 없는 것과 같으니, 윤회의 마음으로 윤회의 견해를 내어 여래의 큰 적멸의 바다에 들어가려하지만 결국 이르지 못한다. 《圓覺經》金剛藏菩薩章 第四 ■ 불교이야기 ■/불경 구절 2013.07.05
가족처럼 가족처럼 늙은 여인을 보면 어머니처럼 생각하고, 중년 여인을 보면 누이처럼 생각하고 어린 처녀를 보면 딸처럼 생각하라. 《雜阿含經》의 <빈두라경> ■ 불교이야기 ■/불경 구절 2013.06.05
무소의 뿔처럼 묶여있지 않는 사슴이 숲속에서 먹이를 찾아 여기저기 다니듯이, 지혜로운 이는 독립과 자유을 찾아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만일 그대가 지혜롭고 성실하고 예의바르며 현명한 동반자를 얻었다면 어떠한 난관도 극복하리니 기쁜 마음으로 생각을 가다듬고 그와 함께 가라.《숫타니.. ■ 불교이야기 ■/불경 구절 2013.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