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교통 공중 도덕과 질서 ① 탈 때에는 차례대로 타고 새치기를 하지 않는다. ② 노약자가 있으면 차례를 양보한다. ③ 지하철(기차)의 경우 내리는 사람이 먼저 내리고 난 뒤 탄다. * 승차를 위해 대기할 때 노란 선을 넘으면 위험하다. ④ 노약자에게 자리를 양보한다. ⑤ 다리를 지나치게 벌려 앉거나 좌석 밖으로 다리를 내놓..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07.10.03
경기장,공연장 공중도덕과 질서 ◎ 경기장, 야외 공연장에서의 공중 도덕과 질서 ♡ 입장과 퇴장 ① 차례로 줄을 서서 입장과 퇴장을 하며, 절대로 앞 사람을 밀면 안 된다. * 화재가 나거나 갑자기 폭우가 쏟아질 때도 차례로 천천히 이동하면 괜찮지만 급히 움직이면 큰 사고로 이어진다. ② 암표를 사고파는 것은 불법이다. ③ 새치..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07.09.27
거리에서 공중도덕과 질서 ♡ 인도에서 ① 쓰레기를 버리지 않는다. 쓰레기는 가지고 있다가 쓰레기통에 버린다. 특히 침을 뱉지 말자. [침 뱉는 사람들] 거리는 그 도시의 얼굴이다. 어떤 도시는 거리가 깨끗하고 질서를 잘 지켜, 보기만 해도 좋은 사람들이 사는 좋은 도시라는 생각이 든다. 어떤 도시는 너저분하고 무질서해서..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07.09.22
학교에서 공중 도덕과 질서 ♡ 교실에서 ① 일단 등교하면 휴대 전화를 끄거나 진동으로 바꾸어 놓는 습관을 가지자. ② 교실이나 복도에서 남에게 피해를 줄 정도의 심한 장난을 치지 않는다. ③ 쓰레기는 반드시 쓰레기통에 버린다. ④ 책상이나 벽 등에 낙서를 하지 않는다. ⑤ 교실이나 복도에서 공놀이를 하면 안 된다. ♡ 복..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07.09.17
이성간 예절 이성 간의 예절 ① 서로 동등하게 생각하고 인격적으로 대하며, 호기심의 대상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 ② 이성에 대한 편견을 버린다. * 자질구레한 일은 여자가 해야 한다든지, 힘드는 일은 남자가 해야 한다든지 하는 생각을 버리고 가능하면 협조하여 하도록 한다. ③ 이성 간에 지나친 신체 접촉은 ..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07.09.08
식사 예절 ♡ 식사 전에 ① 식사 전에 손을 깨끗이 씻는다. ② 음식점에서 주는 물수건으로는 손을 닦으며, 다른 곳을 닦아서는 안 된다. ③ 감사하는 마음을 가진다. * 돈을 벌어 식사를 가능케 한 사람, 식사 준비를 한 사람, 식물(食物)을 생산한 사람. ④ 옷차림을 단정히 한다. 예절은 상대..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07.08.31
전화 예절 ① 전화벨이 울리면 빨리 전화를 받는다.(3번 울리기 전에) ② 통화가 시작되면 인사를 하고 바로 자기가 누구인지를 밝힌다. * “안녕하십니까? ○○중학교 교무실 ○○○입니다.” * 가정이 아닌 사무실에서는 “여보세요.”라고 하면서 전화를 받지 않는다. ③ 상대방이 바로 앞에 있다는 생각으로 ..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07.08.19
방문 예절 방문 예절 ① 미리 방문할 것을 알려 시간 약속을 한다. ② 급한 일로 갑작스럽게 방문했을 때는 대문에서 용무를 끝내는 것이 좋다. ③ 식사 시간이나 너무 이른 시간 또는 밤늦은 시간은 피한다. ④ 방문하여 너무 늦게까지 있지 않도록 하며, 특히 식사 시간이 가까워지면 일어서는 것이 예절이다. * ..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07.07.29
가정 예절 ♡ 부모(조부모님)께 ① 중학생이 되면 더 이상 어린이가 아니므로 높임말을 사용한다. ‘아빠’ ‘엄마’는 아기말이므로 삼가는 것이 좋다. ② 외출하거나 외출에서 돌아올 때 반드시 알린다. * “학교에 다녀오겠습니다.” “친구와 놀고 8시까지 돌아오겠습니다.” * “다녀왔습니다.” * 부모도 ..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07.07.21
인사 예절 ♡ 인사는 예절의 기본 인사란 말을 풀어보면 ‘사람 인(人)’과 ‘일 사(事)’, 또는 ‘사람 인’과 ‘섬길 사(事)’로 되어 있으므로, ‘인간관계에서 가장 기본적인 일’ 또는 ‘사람을 존중하여 섬기는 일’이라고 풀이할 수 있다. 우리 옛말에 ‘인사도 할 줄 모르는 사람’이라는 말이 있다. 이 ..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0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