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귀의 귀재 방귀의 귀재 * 방귀의 귀재라는 말은 방귀를 자주 뀐다는 말이 아니라 남의 눈치채지 못하게 요령있게 뀐다는 말이다. 실화이다. 학생들의 말을 빌리면 수업 시간에도 방귀를 자주 발사하곤 하였다. 방귀 생각이 나면 학생들에게 "알겠지?"하고 묻는다. 그러면 대개 처음에는 작게 대답을 .. ■ 잡동사니 ■/재치있는 유머 2013.10.11
중국의 신화 중국의 신화 1. 혼돈에서 개벽으로 천지가 형성되기 전에 우주는 온통 허황되고 아득하고 걷잡을 수 없는 무형의 상태였다. 이를 태소(太昭)라고 한다. 그러자 태소에서 허공이 생겨났고, 다시 허공에서 상하사방의 공간과 시간이 생겨났다. 이것이 우주다. 우(宇)는 공간이고, 주(宙)는 시.. ■ 잡동사니 ■/신 화 2013.08.18
쉬고 뛰 쉬어라 마음 공부란 본성을 깨닫는 마음 공부 방식은요 무언가를 자꾸 배워서 해야하는 것이 아니라 정반대로 '쉬고 또 쉬고'예요 완전히 쉬고 비워냈을 때 생각을 일으키는 마음 근본 바탕과 정통으로 딱 만날 수 있어요. 혜민 스님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에서 ■ 잡동사니 ■/좋은 글 2013.06.10
수메르 신화 수메르 신화 섀뮤얼 노아 크레이머 지음/박성식 번역의《역사는 수메르에서 시작되었다(History begins at Sumer)》는 39가지의 주제를 담고 있다. 저자는 인류 역사의 시작이 수메르에서 시작되었다고 하면서, 39가지 문화가 수메르에서 최초로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그가 주장한 근거 자료는.. ■ 잡동사니 ■/신 화 2013.06.05
단군 신화 檀君 神話 * 《三國遺事(삼국유사)》에 실려 있는 내용이다. 이 책은 고려시대 때 일연 스님이 기록한 책이다. 魏書云 위서(魏書)에 말하되 * 여기서 말하는 위서는 어떤 책을 말하는지 분명하지 않다. * 《三國志》魏志東夷傳에 따르면 기자(箕子)가 조선에 가서(BC1122) 8조의 법을 가르쳤으.. ■ 잡동사니 ■/신 화 2013.06.04
마음을 본다 마음을 본다 중생들은 세상을 보는 것이 아니라 자기 마음으로 인해 바뀐 세상을 본다. 그러므로 자기 맘에 드는 세상을 보고 싶다면 자기 마음을 바꾸면 된다. ■ 잡동사니 ■/짧은 생각 2013.04.07
성공을 위해서 성공을 위해서 그 사람의 성공을 목표로 하고 그 사람의 성공하기 전을 실천하라. 실패하는 사람은 그 사람의 성공을 부러워하되, 성공하기 전은 보지 않는다. ■ 잡동사니 ■/짧은 생각 2013.03.18
허상의 노예가 됨 허상의 노예가 됨 사람은 각종 허상을 만들고, 그 허상의 노예가 된다. 신(神)이라는 허상, 운명이라는 허상을 만들며 마귀라는 허상, 천사라는 허상을 만든다. 한번 허상의 노예가 되면 좀처럼 헤어나기 어렵다. ■ 잡동사니 ■/짧은 생각 2013.02.15
[스크랩] 어느 약속이 더 중요한가 어느 약속이 더 중요한가? 독일에서 있었던 일이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역사학자 랑케(Ranke 1795-1886)가 잠시 산책을 나갔는데 동네 어귀에서 한 소년이 울고 있는 게 아닌가. 우유배달을 하던 소년은 넘어지는 바람에 싣고 있던 우유병들을 모두 깨뜨린 것이다. "어떡해요.. 전 이 우유 값.. ■ 잡동사니 ■/[스크랩] 좋은글 2012.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