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기신론 - 해석분 - 분별발취도상 - 발심의 인연 4) 分別發趣道相(분별발취도상) ⑴ 總說(총설) 分別發趣道相者(분별발취도상자) 謂一切諸佛所證之道(위일체제불소증지도) 一切菩薩發心修行趣向義故(일체보살발심수행취향의고) 分別發趣道相(분별발취도상)이라는 것은 모든 부처가 증득한 道(도)에, 모든 보살이 발심하여 수행하여 향..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09.27
대승기신론 - 해석분 - 대치사집 - 법아견, 구경망집을 여읨 ② 法我見(법아견) 法我見者(법아견자) 依二乘鈍根故(의이승둔근고) 如來但爲說人無我(여래단위설인무아) 以說不究竟(이설불구경) 法我見(법아견)이라는 것은 二乘(이승)의 둔한 근기에 의지했기 때문에, 여래가 人無我(인무아)만 설하였을 뿐이지만 그 설명이 구경은 아니다. 見有五陰..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09.23
대승기신론 - 해석분 - 대치사집 - 인아견 3) 對治邪執(대치사집) (1) 二種 邪執(이종 사집) 對治邪執(대치사집) 一切邪執(일체사집) 皆依我見(개의아견) 若離於我(약리어아) 則無邪執(즉무사집) 삿된 집착을 다스린다는 것은 모든 삿된 집착이 다 我見(아견)에 의지하므로, 만약 나를 떠나면 삿된 집착이 없다는 것이다. 是我見有二..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09.23
대승기신론 - 해석분 - 삼대 - 용대 ② 用大(용대) ○ 用(용)의 原理(원리) 復次眞如用者(부차진여용자) 所謂諸佛如來(소위제불여래) 本在因地(본재인지) 發大慈悲(발대자비) 修諸波羅蜜(수제바라밀) 攝化衆生(섭화중생) 다시 다음에 진여의 작용이라는 것은 이른 바 모든 여래가 본디 因地(인지)에 있을 때, 큰 자비심을 내..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09.21
대승기신론 - 해석분 - 삼대 - 체대와 상대 (4) 三大(삼대) ① 體大 相大(체대 상대) ○ 眞如(진여)의 自體相(자체상) 復次眞如自體相者(부차진여자체상자) 一切凡夫聲聞緣覺菩薩諸佛(일체범부성문연각보살제불) 無有增減(무유증감) 非前際生(비전제생) 非後際滅(비후제멸) 畢竟常恒(필경상항) 다시 다음에 진여의 자체상이라는 것..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09.21
대승기신론 - 해석분 - 훈습 - 정법훈습 ○ 淨法熏習(정법훈습) 云何熏習(운하훈습) 起淨法不斷(기정법부단) 어떻게 훈습하여 淨法(정법)을 일으켜 단절되지 않는가? 所謂以有眞如法故(소위이유진여법고) 能熏習無明(능훈습무명) 이른바 진여법이 있기 때문에 능히 무명을 훈습한다. * 진여가 무명을 훈습하는 것을 본훈(本熏)..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09.14
대승기신론 - 해석분 - 훈습 - 염법훈습 ④ 熏習(훈습) ○ 染淨(염정)의 四法(사법) 復次有四種法(부차유사종법) 熏習義故(훈습의고) 染法淨法(염법정법) 起不斷絶(기부단절) 云何爲四(운하위사) 다시 다음에 네 가지 법이 있으니, 熏習(훈습)의 뜻이기 때문에 염법과 정법이 일어나 단절되지 않으니 무엇을 넷이라고 하는가? 一..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09.14
대승기신론 - 해석분 - 생멸의 모습 ③ 生滅(생멸)의 相(상) 復次分別生滅相者有二種(부차분별생멸상자유이종) 云何爲二(운하위이) 다시 다음에 생멸상을 분별하는 것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무엇을 둘이라고 하는가? 一者麤(일자추) 與心相應故(여심상응고) 二者細(이자세) 與心不相應故(여심불상응고) 첫째는 거친 것이..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09.05
대승기신론 - 해석분 - 생멸의 인연 - 연기, 염심 ○ 緣起(연기)의 深奧(심오) 依無明熏習(의무명훈습) 所起識者(소기식자) 非凡夫能知(비범부능지) 亦非二乘智慧所覺(역비이승지혜소각) 무명의 훈습에 의해 일어난 識(식)이란 범부가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며, 二乘(이승)의 지혜로도 깨닫는 바도 아니다. 謂依菩薩(위의보살) 從初正信(종..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09.02
대승기신론 - 해석분 - 생멸의 인연 - 오의, 의식 ② 生滅(생멸)의 因緣(인연) ○ 五意(오의)와 轉起(전기) 復次生滅因緣者(부차생멸인연자) 所謂衆生依心(소위중생의심) 意意識轉故(의의식전고) 다시 다음 生滅(생멸)하는 인연이라는 것은 소위 중생이 마음에 따라 意(의)와 意識(의식)이 바뀌기 때문이다. * 인연이란 직접적 원인과 이를 .. ■ 불교이야기 ■/대승기신론 2013.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