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예절 ♡ 부모(조부모님)께 ① 중학생이 되면 더 이상 어린이가 아니므로 높임말을 사용한다. ‘아빠’ ‘엄마’는 아기말이므로 삼가는 것이 좋다. ② 외출하거나 외출에서 돌아올 때 반드시 알린다. * “학교에 다녀오겠습니다.” “친구와 놀고 8시까지 돌아오겠습니다.” * “다녀왔습니다.” * 부모도 ..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07.07.21
인사 예절 ♡ 인사는 예절의 기본 인사란 말을 풀어보면 ‘사람 인(人)’과 ‘일 사(事)’, 또는 ‘사람 인’과 ‘섬길 사(事)’로 되어 있으므로, ‘인간관계에서 가장 기본적인 일’ 또는 ‘사람을 존중하여 섬기는 일’이라고 풀이할 수 있다. 우리 옛말에 ‘인사도 할 줄 모르는 사람’이라는 말이 있다. 이 ..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07.06.09
대화 예절 ♡ 말의 중요성 말은 의사를 전달하는 가장 대표적인 수단이다. 표정이나 몸짓으로도 의사를 전달하지만 거의 대부분을 말로써 전달한다. 또 인품이나 학식과 교양을 말을 통해서 나타내기도 한다. 더구나 오늘날은 그리 친하지 않은 많은 사람들과 접촉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올바른 대화법을 익히는.. ■ 예절과 교육■/예절과 공중도덕 2007.06.09
아룬 간디 이야기 아룬 간디는 마하트마 간디의 손자이다. 어느 날 아침 아룬의 아버지는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아룬에게 집에서 15킬로미터 떨어진 사무실까지 차로 데려다 달라고 말했다. 사무실에 도착한 아버지는 아룬에게 말했다. “얘야, 아무래도 차를 수리해야겠구나. 덜덜거리는 소리가 귀에 거슬리는 걸. 차.. ■ 예절과 교육■/자녀교육 2007.02.20
당신만의 독특한 방법을 개발하라 이글은 사이토 시게타가 지은 사람의 마음을 열어주는 96가지 이야기에서 그대로 옮긴 것입니다. 요즘 일부 부모들은 학원뿐만 아니라 아이 양육을 비디오 테이프나 PC에 의존하는 경향이 더 많은 것 같다. '유아용 교재'라는 비디오를 아이에게 보여주고, 자기는 이웃집 엄마들과 모여 수다를 떤다거.. ■ 예절과 교육■/자녀교육 2007.01.28
아이들에게 큰 꿈을 가지게 하자 아이들에게 장래 희망을 물어보면 옛날이나 지금이나 큰 차이가 있지는 않다. 의사라든지, 선생님, 간호사, 탈랜트, 패션 모델 등이 자주 나오는 장래 희망이고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는 직업도 있다. 그런데 그러한 직업을 왜 희망하느냐고 물어보면 분명 옛날과 지금은 많이 다르다. 교사가 되려고 하.. ■ 예절과 교육■/자녀교육 2007.01.12
행복을 느낄 줄 아는 능력을 키워주자 우리나라만큼 자녀 교육에 열심인 나라는 없을 것이다. 한때는 우리나라의 이러한 높은 교육열이 우리나라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었지만 지금은 오히려 우리나라 발전의 걸림돌이 되는 경우가 많다. 즉 나라 발전의 걸림돌이 될 정도로 우리나라 부모들의 자녀 교육열은 여전히 대단하다는 얘기.. ■ 예절과 교육■/자녀교육 2006.11.14
진정한 자녀 사랑 자녀에게 사랑을 주자고 하면 이상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자기 자녀를 사랑하지 않는 부모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은 가정에서의 아동 폭력에 대해서 얘기하려나 보다 하고 생각할 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여기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보통 가정의 보통 이야기이다. 요즘 많.. ■ 예절과 교육■/자녀교육 2006.11.02
아이의 기를 살린다 요즘 부모들은 아이들이 기가 죽을까봐 굉징히 신경을 쓰는 것 같다. 그래서 옷이나 소지품을 남부럽지 않게 해주고, 함부로 꾸짖지도 않는다. 물론 기가 살아 있다는 것은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기가 살아 있다는 것은 다른 사람을 대할 때 당당하게 대하는 것과 어려움 앞에서 패기를 잃지 않는 .. ■ 예절과 교육■/자녀교육 2006.08.25
아이는 마구 키워야 한다? 군대 생활을 할 때 들은 얘기이다. 당시 정훈 참모가 김소령님이었은데 그 분이 들려 준 얘기다. 김소령은 친구인 K소령의 식사 초대를 받아 K소령 집을 방문하게 되었다. 둘이서 이런 이야기 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식사 시간이 되어 함께 식사를 하는데 초등학교에 다니는 그 집 아들이 자꾸 반찬 투정.. ■ 예절과 교육■/자녀교육 2006.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