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명심보감 - 20(부행편) 20. 여자의 행실을 말한다. ○ ≪익지서≫에 일렀다. “여자에게는 네 가지 덕의 아름다움이 있다. 첫째는 부덕(婦德)이요, 둘째는 부용(婦容)이요, 셋째는 부언(婦言)이며, 넷째는 부공(婦工)이다.” 부덕이라고 하는 것은 반드시 재주와 이름이 뛰어나야 하는 것이 아니며, 부용이라는 것은 반드시 얼.. ■ 책 이야기 ■/명심보감 2008.08.21
한글명심보감 - 19(교우편) 19. 진정한 친구를 사귄다. ○ 공자가 말하였다. “착한 사람과 함께 있으면 지초와 난초가 있는 방에 들어가는 것과 같아서, 오래 되면 그 향기는 맡지 못하지만, 곧 그것과 동화된다. 착하지 않은 사람과 함께 있으면 어물 가게에 들어가는 것과 같아서, 오래 되면 그 냄새를 맡지 못하지만, 역시 그것.. ■ 책 이야기 ■/명심보감 2008.08.21
한글명심보감 - 18(언어편) 18. 말은 가려서 한다. ○ 유회가 말하였다. “말이 이치에 맞지 않으면 말을 하지 않는 것만 못하다.” ○ 한 마디 말이 맞지 않으면 천 마디 말을 해도 소용없다. ○ 군평이 말하였다. “입과 혀라고 하는 것은 재앙과 근심의 문이며, 몸을 멸망시키는 도끼이다.” ○ 사람을 이롭게 하는 말은 솜처럼 .. ■ 책 이야기 ■/명심보감 2008.08.21
한글명심보감 - 17(준례편) 17. 예를 좇는다. ○ 공자가 말하였다. “집에 살 때 예가 있으므로 어른과 어린이의 분별이 있고, 안채에 예가 있으므로 3족이 화목하고, 조정에 예가 있으므로 관직에 순서가 있으며, 사냥을 하는데 예가 있으므로 군사 일이 숙달되며, 군대에 예가 있으므로 무공이 이루어진다.” ○ 공자가 말하였다... ■ 책 이야기 ■/명심보감 2008.08.21
한글명심보감 - 16(안의편) 16. 의리를 안정시킨다. ○ 안씨 가훈에 일렀다. “무릇 백성이 있은 뒤 부부가 있으며, 부부가 있은 뒤 부자가 있고, 부자가 있은 뒤 형제가 있다. 한 집안의 가까운 사람은 이 세 가지뿐이다. 이리부터 9족까지는 모두 삼친에 근본을 두고 있으므로, 인륜에 있어서 중요한 것이 되니 돈독하게 하지 않을.. ■ 책 이야기 ■/명심보감 2008.08.21
한글명심보감 - 15(치가편) 15. 가정을 다스린다. ○ 사마온공이 말하였다. “무릇 아랫사람은 일의 크고 작음에 관계없이, 제멋대로 하지 말고 반드시 집안 어른에게 여쭈어야 한다.” ○ 손님을 대접하는 데는 풍성하게 하지 않을 수 없지만, 가정을 다스리는 데는 검소하게 하지 않을 수 없다. ○ 태공이 말하였다. “어리석은 .. ■ 책 이야기 ■/명심보감 2008.08.20
한글명심보감 - 14(치정편) 14. 관리의 자세를 말한다. ○ 명도 선생이 말하였다. “처음 벼슬을 하는 선비라도 정말로 물건을 아끼는데 마음을 둔다면 사람들에게 반드시 도움이 되는 바가 있다.” * 그 물건이 모두 백성들로부터 온 것이기 때문이다. * 명도(明道 ; 1032 ~ 1085 ) : 정호(程顥)를 말함. 송나라의 성리학자. 자는 백순(.. ■ 책 이야기 ■/명심보감 2008.08.20
한글명심보감 - 13(입교편) 13. 윤리를 가르친다. ○ 공자가 말하였다. “세상에 나아가 출세함에는 의(義)가 있으니 효가 근본이 된다. 장례 모시고 제사 모실 때는 예(禮)가 있으니 슬픔이 근본이 된다. 전쟁터에서는 질서가 있으니 용맹함이 근본이 된다. 정치를 함에는 이치가 있으니 농업이 근본이 된다. 나라를 지킬 때는 도.. ■ 책 이야기 ■/명심보감 2008.08.19
한글명심보감 - 12(성심하편) 12. 마음을 살펴 본다.(하) ○ 진종황제어제에 말하였다. “위험함을 알면 마침내 그물에 갇히는 일을 없을 것이며, 착한 이를 쓰고 어진 이를 천거하면 몸이 편안한 길에 있을 것이며, 인을 베풀고 덕을 펴면 대대로 번영할 것이다. 시기심을 품고 원한을 갚으면 자손에게 걱정이 되는 것을 물려주는 것.. ■ 책 이야기 ■/명심보감 2008.08.16
한글명심보감 - 11(성심편상) 11. 마음을 살펴 본다.(상) ○ ≪경행록≫에서 일렀다. “보물은 쓰면 없어지게 되지만 충과 효는 누려도 끝이 없다.” ○ 집안이 화목하면 가난해도 좋은데 의롭지 못하면 부유한들 어쩔 것인가? 다만 한 사람의 효자만 있으면 되지 자손이 많은들 어쩔 것인가? ○ 부모가 근심이 없는 것은 자식이 효성.. ■ 책 이야기 ■/명심보감 2008.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