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集註 爲政篇 10, 11, 12, 13, 14, 15, 16 10. 子曰 “視其所以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그 하는 것을 보며, *以 爲也. 爲善者爲君子 爲惡者爲小人. 以는 함이다. 善을 하는 사람은 君子가 되고, 惡을 하는 사람은 小人이 된다. •觀其所由 그 이유를 살피며, *觀比視爲詳矣. 由從也. 事雖爲善 而意之所從來者 有未善焉 則亦不得..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16
論語集註 爲政篇 5, 6, 7, 8, 9 5. 孟懿子問孝 子曰 “無違.” 맹의자가 효에 대해 질문을 하자 공자께서 말씀하였다. “어김이 없어야 한다.” *孟懿子 魯大夫仲孫氏 名何忌. 無違 謂不背於理 孟懿子(맹의자): 魯나라 대부 仲孫氏로서 이름은 何忌(하기)이다. 無違는 도리를 등지지 않는 것을 말한다. •樊遲御 子告..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16
論語集註 爲政篇 1, 2, 3, 4 ◎ 爲政 第二 *凡二十四章. 모두 24章이다. 1. 子曰 “爲政以德 譬如北辰, 居其所而衆星共之.”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덕으로써 정치를 한다는 것은 비유하면 북극성과 같으니, 그 자리에 있으면 뭇 별이 그 별로 향하는 것과 같다.” -北辰(북신): 北極星, 辰은 신으로 읽음. -共은 拱(공)..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15
論語集註 學而篇 11, 12, 13, 14, 15, 16 11. 子曰 “父在 觀其志, 父沒 觀其行, 三年 無改於父之道 可謂孝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아버지가 살아계시면 그 뜻을 보며, 아버지가 돌아가시면 그 행동을 보나, 삼년 동안 아버지의 道를 고치지 말아야 효라고 할 수 있다.” -父在 觀其志(부재 관기지): 그의 아버지가 살아 있으..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15
論語集註 學而篇 8, 9, 10 8. 子曰 “君子不重則不威, 學則不固.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가 무겁지 않으면 위엄이 없고, 배워도 견고하지 않다. -不重이란 誠意 없음, 소홀히 함, 생각 없이 행함, 경거망동함 등의 뜻이 있다. -學則不固(학즉불고) : 군자가 무겁지 않으면 공부를 해도 그 공부가 견고하지 못하다..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15
論語集註 學而篇 5, 6, 7 5. 子曰 “道千乘之國 敬事而信 節用而愛人 使民而時.”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제후의 나라를 다스림에 일을 공경히 하여 미덥게 하고, 씀씀이를 절도 있게 하여 사람들을 사랑하고 백성을 부림에 때를 맞추어야 한다.” -節用而愛人(절용이애인): 관에서 쓰는 모든 물건은 백성들로부..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15
論語集註 學而篇 2, 3, 4 2. 有子曰 “其爲人也孝弟(悌) 而好犯上者鮮矣, 不好犯上而好作亂者 未之有也. 有子가 말했다. “그 사람됨이 효성스럽고 공경하면서도 윗사람을 범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드물고, 윗사람을 범하기를 좋아하지 않으면서도 난리를 일으키는 사람은 있지 않다. -有子(유자) : 공자의 제자..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14
論語集註 學而篇 1 論語 『論語』는 공자와 그의 제자들 사이에 오고 간 대화나 일화를 적은 것이다. 그러므로 공자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언제부터 『論語』라는 책이 성립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대체로 西漢末 원제때 安昌候 張禹가 『魯論』을 주로 하고 『齋..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