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集註 雍也篇 19, 20, 21, 22, 23, 24 19. 子曰 “中人以上 可以語上也, 中人以下 不可以語上也.”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中人 이상은 높은 것을 말해줄 수 있으나, 中人 이하는 높은 것을 말해줄 수 없다.” -높은 것이란 仁을 말한다. 仁은 私慾을 내세우지 않고 자기가 원하는 것을 남과 함께 하는 것이니, 모두가 이렇게 ..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22
論語集註 雍也篇 11, 12, 13, 14, 15, 16, 17, 18 11. 子謂子夏曰 “女爲君子儒 無爲小人儒.” 孔子께서 子夏(자하)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君子 학자가 되고, 小人 학자가 되지 마라.” *儒 學者之稱. 儒는 배우는 사람을 지칭한다. *程子曰 “君子儒爲己 小人儒爲人.” 程子(伊川)께서 말씀하셨다. “君子 학자는 자기를 위하고, 小人 학..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21
論語集註 雍也篇 6, 7, 8, 9. 10 6. 季康子問 “仲由 可使從政也與?” 子曰 “由也 果 於從政乎 何有?” 曰 “賜也 可使從政也與?” 曰 “賜也 達 於從政乎 何有?” 曰 “求也 可使從政也與?” 曰 “求也 藝 於從政乎 何有?” 季康子(계강자)가 물었다. “仲由(=子路)는 정사에 종사하게 할 만 합니까?” 孔子께서 말씀하셨..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21
論語集註 雍也篇 3, 4, 5 3. 子華使於齊 冉子爲其母請粟 子曰 “與之釜.” 請益 曰 “與之庾.” 冉子與之粟五秉 子華(자화)가 제나라로 심부름을 가자 冉子(염자)가 그의 어머니를 위해 곡식을 청하였다.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釜(부)를 주라.” 더 달라고 하니 “庾(유)를 주라.” 염자(冉子)가 곡..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21
論語集註 雍也篇 1, 2 ◎ 雍也 第六 *凡二十八章 篇內第十四章以前 大意與前篇同 모두 28장이다. 이 편 안에서 第14章 이전은 大義가 前篇과 같다. -전편과 같다는 것은 인물평으로 되어 있다는 말이다. 1. 子曰 “雍也 可使南面.”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雍(옹)은 南面할 만 하다.” -可使南面(가사남면): 군왕..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21
論語集註 公冶長 22, 23, 24, 25, 26, 27 22. 子曰 “伯夷叔齊 不念舊惡 怨是用希.”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伯夷(백이)와 叔齊(숙제)는 옛 잘못을 기억하지 않았으니, 이 때문에 원한이 드물었다.” -伯夷叔齊(백이숙제): 殷나라 말기 서쪽 변방에 위치한 孤竹君(고죽군)의 두 아들이다. 아버지가 죽자 서로 양보하면서 서로 후계..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21
論語集註 公冶長 18, 19, 20, 21 18. 子張問曰 “令尹子文 三仕爲令尹 無喜色, 三已之 無慍色, 舊令尹之政 必以告新令尹, 何如?” 子曰 “忠矣.” 曰 “仁矣乎?” 曰 “未知. 焉得仁?” 子張(자장)이 물었다. “令尹(영윤) 子文(자문)은 세 번 영윤이라는 벼슬을 했지만 기뻐하는 기색이 없었고, 세 번 그만두었지만 화..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20
論語集註 公冶長 13, 14, 15, 16. 17 13. 子路有聞 未之能行 唯恐有聞. 자로는 들은 것이 있어서 실천하지 못하면, 듣는 것을 두려워하였다. -唯恐有聞(유공유문): 聞(문)은 배운 것을 말한다. 그냥 지식이 아니라 실행에 옮겨야 하는 것이다. 그것을 아직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데 또 다른 것을 들으면 먼저 배운 것을 실행에 옮..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20
論語集註 公冶長 9, 10, 11, 12 9. 宰予晝寢 子曰 “朽木 不可雕也 糞土之墻 不可杇也. 於予與 何誅?” 宰予(재여)가 낮잠을 자고 있었는데,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썩은 나무는 조각할 수 없고, 거름 흙으로 된 담은 흙손질을 할 수 없다. 내가 宰予에게 무엇을 꾸짖을 것인가?” -何誅(하주): 무엇을 꾸질 것인가? 결..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20
論語集註 公冶長 5, 6, 7. 8 5. 子使漆雕開仕, 對曰 “吾斯之未能信.” 子說. 孔子께서 漆雕開(칠조개)에게 벼슬을 하라고 시키자, 대답했다. “저는 이것에 자신할 수 없습니다.” 孔子께서 기뻐하셨다. -子說(자열): 說(열)은 기쁠 열이다. 공자가 기뻐한 이유는 漆雕開(칠조개)가 단지 벼슬을 탐내지 아니하고 자기..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