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集註 述而篇 33, 34, 35, 36, 37 33. 子曰 “若聖與仁 則吾豈敢. 抑爲之不厭 誨人不倦 則可謂云爾已矣.” 公西華曰 “正唯弟子不能學也.”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聖과 仁을 내가 어찌 감당할 것인가? 그러나 그것을 행하는 것을 싫어하지 않으며 남을 가르침에 게으르지 않음은 그렇다고 말할 수 있다.” 公西華(공서..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23
論語集註 述而篇 28, 29, 30, 31, 32 28. 互鄕 難與言, 童子見(현) 門人 惑 互鄕(호향) 사람은 더불어 말하기가 곤란한데, 동자가 찾아오자 만나보니 문인들이 의혹을 가졌다. -互鄕(호향): 고을 이름. 이 고을 사람이 도리를 잊고 살아 더불어 말하기가 어려웠다. -童子見(동자현): 見(현)은 만나보다. -惑(혹): 疑惑(의혹), 무도한..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23
論語集註 述而篇 22, 23, 24, 25, 26, 27 22. 子曰 “天生德於予 桓魋其如予何?”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하늘이 나에게 德을 주셨으니, 桓魋(환퇴)가 나를 어찌 할 것인가?” -이 부분을 보면 孔子는 하늘이 자기에게 특별한 임무를 부여한 것으로 생각했던 것 같다. -魋(퇴): 사람이름, 북상투, 곰 *桓魋 宋司馬向&#..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23
論語集註 述而篇 15, 16, 17, 18, 19, 20, 21 15. 子曰 “飯疏食(사)飮水 曲肱而枕之 樂亦在其中矣 不義而富且貴 於我 如浮雲.”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거친 음식을 먹고 물 마신 뒤 팔을 굽혀 베더라도, 즐거움은 또한 그 가운데 있으니, 옳지 못하고서 부유하고 귀하게 되는 것은 나에게는 뜬 구름과 같다.” -肱(굉): 팔. -不義而富..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23
論語集註 述而篇 11, 12, 13, 14 11. 子曰 “富而可求也 雖執鞭之士 吾亦爲之. 如不可求 從吾所好.”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富를 만약 구해서 될 수 있다면, 비록 말채찍을 잡는 사람이 하는 일이라도 나는 하겠다. 그러나 구해서 되지 않는다면 내가 좋아하는 것을 따르리라.” -富而可求也(부이가구야): 而는 여기서는..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23
論語集註 述而篇 6, 7, 8, 9, 10 7. 子曰 自行束脩以上 吾未嘗無誨焉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스스로 脯(포) 10개 이상을 가져와 예를 행한 자에게는 일찍이 가르치지 않은 적이 없다.” -束脩以上(속수이상): 脩(수)는 脯(포)이다. 束(속)은 묶음으로서 10개를 말한다. 예물로서 최소 단위라고 한다. 따라서 최소한의 예만 ..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23
論語集註 述而篇 1, 2, 3, 4, 5, 6 ◎ 述而 第七 *此篇多記聖人謙己誨人之辭及其容貌行事之實. 凡三十七章. 이 篇에는 자기를 겸손히 하고 남을 가르치는 말과 그 용모와 행사의 실제가 많이 기록되어 있다. 모두 37章이다. 1. 子曰 “述而不作 信而好古 竊比於我老彭.”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記述(기술)하지만 창작하지 ..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22
論語集註 雍也篇 25, 26, 27, 28 25. 子曰 “君子博學於文 約之以禮 亦可以不畔矣夫.”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는 文을 널리 배우고 禮로써 요약한다면 또한 위배되지 않을 것인저.” -不畔矣(불반의): 畔(반)은 叛(반). 徒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뜻. *約 要也. 畔 背也. 君子學欲其博 故於文無不考, 守欲其要, 故其動必..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22
論語集註 雍也篇 19, 20, 21, 22, 23, 24 19. 子曰 “中人以上 可以語上也, 中人以下 不可以語上也.”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中人 이상은 높은 것을 말해줄 수 있으나, 中人 이하는 높은 것을 말해줄 수 없다.” -높은 것이란 仁을 말한다. 仁은 私慾을 내세우지 않고 자기가 원하는 것을 남과 함께 하는 것이니, 모두가 이렇게 ..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22
論語集註 雍也篇 11, 12, 13, 14, 15, 16, 17, 18 11. 子謂子夏曰 “女爲君子儒 無爲小人儒.” 孔子께서 子夏(자하)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君子 학자가 되고, 小人 학자가 되지 마라.” *儒 學者之稱. 儒는 배우는 사람을 지칭한다. *程子曰 “君子儒爲己 小人儒爲人.” 程子(伊川)께서 말씀하셨다. “君子 학자는 자기를 위하고, 小人 학.. ■ 책 이야기 ■/논 어 2016.12.21